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율 낮은 췌장암, 치료 효과 높일 '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V 변이’가 있는 종양에서 T세포가 활발하게 분포했다. 전 교수는 “췌장암의 대표적
유전자
변이인 KRAS의 하위 유형 중 G12D 변이와 G12V 변이 비율은 약 2:1이지만 G12V 변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했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G12V를 발현하는 췌장암 환자군의 면역세포가 더 활발하게 분포한다는 ... ...
간부전 환자 위한 돼지 간 이종이식, 첫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회복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가교 이식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유전자
교정 돼지 장기를 이식받은 사례는 미국과 중국에서 6건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동정적 치료(compassionate use) 차원에서 허가됐다. 환자 대부분은 수개월 이상 생존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게놈으로 남아있다. 다만 나머지
유전자
모두가 사라진 건 아니고 1000여 개의
유전자
는 핵 게놈으로 건너갔고 여기서 만들어진 단백질의 다수는 다시 미토콘드리아로 건너와 작동한다. 결국 미토콘드리아는 원청업체가 넘겨받은 설계도로 만들어 대주는 장비로 만든 물건(ATP)을 납품하는 하청업체인 ... ...
3D 유사장기로 두경부암 원인 돌연변이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종양 내 림프구 침윤에 관여하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박영민 교수는 “MLL3’
유전자
돌연변이가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에게 사용되는 면역항암제 효과를 낮추는 기전을 동물 모델로 규명함으로써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 생존율을 높이고 새로운 면역기반 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 ...
환각제 LSD, 원자 2개 바꾸니 조현병 치료제 후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환각과 유사한 행동은 없었다. 일반적으로 LSD를 투여했을 때 촉진되는 조현병 관련
유전자
발현도 촉진되지 않았다. LSD의 정신질환 치료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부작용은 줄인 것이다. JRT는 강력한 항우울 효과도 나타났다. 속효성 최신 항우울제인 케타민보다 항우울 효과가 약 100배 더 강력한 것으로 ... ...
치매로 기억 흐려지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이어 가바 생성과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별세포에서 SIRT2를
유전자
수준에서 억제하거나 약물을 처리해 활성을 억제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 같이 별세포의 SIRT2를 억제한 결과 별세포 내 가바 생성이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신경세포에 대한 억제 작용도 약 30~40% 감소했다. ... ...
증상 발생 전 파킨슨병 진단 혈액검사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개발된 혈액검사법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검사에 사용되는
유전자
증폭(PCR) 기술과 원리가 같다. 특정 유전 물질을 증폭시켜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미 검증된 기술의 연장선에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파킨슨병 이해에 큰 진전을 의미하며 ... ...
美 여성, 이식된 돼지 신장 130일 만에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돼지 세포 표면의 당 분자를 제거하거나 바이러스 잔재물 제거
유전자
를 교정하는 방식 등을 통해 면역 반응을 제어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감귤나무 떼죽음 원인 ‘황룡병’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파괴돼 면역 반응이 더욱 억제됐다. 연구팀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단백질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부위와 MYC2 단백질의 결합 부위가 황룡병 저항성의 핵심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단백질을 활성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MYC2의 분해를 막고 황룡병에 대한 ... ...
전립선암 위험, 피보다 침이 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전립선암 진단을 받는다. 연구팀의 타액 검사는 전립선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유전자
변이 130개를 평가해 전립선암 위험 점수를 낸다. 연구팀은 타액 검사가 혈액 검사보다 전립선암 발생 위험을 잘 예측한다는 점에서 전립선암 검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간단하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