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림
유생
유자
외국유학생
뉴스
"
유학생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의 눈] 과학자 출신 대통령 바라지도 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더 안겨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레호보트 바이츠만 연구소에서 만난 한국인
유학생
김정석 씨는 "학부 4학년 때 함께 연구실 생활을 하면서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던 친구들이 과제 제안서 작성에만 시간을 뺏기는 현실에 신물을 느끼고 모두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로를 바꿨다"며 "그 곳에 ... ...
[이공계 홀대하는 한국]美서 박사 받은 고급두뇌, 절반이상 눌러앉아
동아일보
l
2014.01.08
바꾸고 엄격한 위계질서를 타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공계 유출입 실태조사에서
유학생
들이 밝힌 이유도 이런 지적을 뒷받침한다. 미국과 일본에 유학 중인 이공계 석박사들은 ‘학문 기술 수준이 높아서’ ‘금전적 조건이 좋아서’라는 응답과 더불어 ‘자율성과 독립성이 보장되는 직장 ... ...
[청년드림]“日기업들은 스펙 아닌 비전을 더 꼼꼼히 봐요”
동아일보
l
2013.12.11
너무 많아 제대로 질문할 기회가 없었는데 청년드림 도쿄캠프에선 비슷한 상황에 있는
유학생
들이 모여 조언을 받을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라고 말했다. 히토쓰바시(一橋)대 경영학과 3학년 조성옥 씨(여)도 “일본 내 한국 기업이 어떤 인재를 선호하는지 감을 잡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내년 ... ...
[동아광장/신기욱]글로벌 인재에게 너무 먼 한국
동아일보
l
2013.12.10
기술협력이나 정보공유 등 한국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
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몽골, 말레이시아, 태국 등 저개발 아시아 국가에서 온 학생들 중에는 한국적 성공 모델을 배우러 온 경우가 적지 않다. 이들이 졸업 후 한국에서 일한다면 인적자본으로서의 ... ...
“기초연구가 돈만 먹는 하마? 성과도 있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연구원 등이 각 분야 연구내용 및 최신동향을 발표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KAIST 해외
유학생
은 “평소 들어보기 힘든 수준높은 발표가 많아 전공공부에 많은 도움이 됐다”며 “한국 기초과학의 높은 수준을 알 수 있는 자리”라고 말했다. 오세정 IBS 원장은 “창의사회로 거듭나려면 뛰어난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베르틸 안데르손 싱가포르 난양공대 총장 “상에 연연 말고 독창적 연구 해야… ”
동아일보
l
2013.10.21
Contact Singapore)’라는 헤드헌팅 전담기관도 설립했다. ‘컨택 싱가포르’는 2015년까지
유학생
15만 명을 유치할 계획이다.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인종이 몰려 있는 싱가포르처럼 난양공대의 인적 구성 또한 매우 다양하다. 우선 1700여 명인 난양공대 교수진의 절반 이상이 외국인이다. 특히 2011년 7월 ... ...
[대덕연구단지 40년]허허벌판이 과학기술 메카로
동아일보
l
2013.08.12
때문에 유학 후 귀국하지 않는 우수 과학자들이 대상이었다. 1962∼72년 당시 미국
유학생
중 한국인의 미(未)귀국률은 62.62%로 조사대상 25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한 원로 과학자는 “저작권 개념이 없던 당시 우수 과학자를 1명 유치하면 그의 연구 성과는 물론 선진 연구시스템을 통째로 가져오는 ... ...
해외대학 진학, 그 명과 암
동아일보
l
2013.07.09
학기 때 학업을 포기한다”고 전했다. 미국 위스콘신대 메디슨캠퍼스에 다니는 한국인
유학생
D 씨는 “주입식 교육에 익숙한 한국 학생들은 시험을 앞두고 한국인 선배를 찾아 ‘족보’를 입수하는 데 급급할 뿐 토론식으로 진행되는 본 수업에는 잘 참여하지 못해 좋은 학점을 못 받는 경우가 ... ...
[전문대학이 다시 뛴다]명장활용과 평생교육
동아일보
l
2013.06.13
국제화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인덕대 국제교육센터에는 지난해 나이지리아 국비
유학생
41명이 찾아왔다. 1년 동안 △용접 △자동차 △한국어 등을 배우기 위해서였다. 매년 300명가량의 국내 학생을 해외에 파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해외 학생이 찾아오는 전문대 교육의 모델을 만든 셈이다. ... ...
“다문화학교 따로 만들면 차별 심해져 통합 방해”
동아일보
l
2013.05.30
수 없는 시대적인 흐름이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로는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외에 비즈니스맨, 외국어강사, 문화예술인, 난민 등이 있다. 북한에서 자유를 찾아 한국에 온 사람들의 수도 2만 명이 넘는다. 이민자 증가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이들의 활동으로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