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2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인공태양' 초전도자석, 16년 장기 운전에도 최대 성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열부하가 커질 경우 초전도자석의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했다. 실험 결과 25kA
전류
가 흘렀을 때도 초전도자석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모두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교류 손실로 인한 총 발생 열량은 과거보다 더욱 줄어들어 자석이 더욱 안정됐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 ...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발열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초고집적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전자공학 기술이다. 문제는 두 기술을 사용하면 도체에
전류
가 흐를 때 발열 현상이 생긴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마그논을 활용해 두 기술을 이용하면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 소모 없이 기존의 컴퓨팅 기술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nPS3 ... ...
실연의 아픔, 약한 뇌 전기자극으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0분 동안 착용했다. 각 참가자에게 가해지는
전류
자극의 정도는 달랐다. 한 그룹에서는
전류
가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DLPFC)을 겨냥한 반면 다른 그룹에선 복측 전전두엽 피질(VLPFC)을 겨냥했다. 마지막 그룹은 헤드셋이 꺼져 아무런 자극을 받지 않았다. 실험 결과 LTS 증상의 경우 DLPFC ... ...
화려하고 다양한 색채 오로라, 실제론 '우주재난 경고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강한 자기장이 지상의 송전 시스템에도 갑작스러운 유도
전류
를 발생시켜 전력망에 피해를 줄 수도 있다. 지구 자기장의 극점인 자극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오로라대(초록색 부분)와 세종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의 위치. 세종기지는 오로라대의 훨씬 바깥쪽에 ... ...
청바지 염색 염료 이용해 '수분 → 전기'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전압과
전류
밀도가 기존 수분 구동 발전기에 비해 각각 2배, 10배가량 높았으며 특히
전류
밀도는 학계에 보고 된 수치 중 가장 높았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수분 구동 발전기가 전자계산기, 작은 전구 등 일상의 소형 전자기기들을 구동할 정도로 충분한 전력을 생산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상온의 2차원 자석 표면에 매우 미세한 전압과 자기장을 공급해 스커미온을 구현하고
전류
를 가해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3차원 스커미온과 비교해 제어에 소비되는 전력이 1000분의 1 정도로 감소했다. 크기는 10배 이상 작아져 안정성이나 속도 측면에서도 유리해졌다는 ... ...
[인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수송그룹연구그룹장 고진석 △PWI연구그룹장 이형호 △가열
전류
구동연구그룹장 왕선정 △토카막장치운전그룹장 김광표 △극저온장치기술그룹장 장용복 △냉각설비기술그룹장 김영진 △초전도시스템연구그룹장 이현정 △전원전력기술그룹장 공종대 △실증로설계통합그룹장 허남일 ... ...
'도청 차단' 양자 통신 위한 신개념 단일 광자 발생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금 나노입자의 꼭짓점에서 진동하면서 나노입자 표면의 작은 틈새인 나노갭 주위에 유도
전류
를 만들었다. 꼭짓점에서는 원형 편광된 광자가 방출됐다. 소재필 연구원은 "금 입자가 아주 작은 전기회로처럼 작용하면서 단일 광자의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의 위상 차이를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리튬이온전지 성능 '업'…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충전할 때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음극에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외부회로를 통해
전류
를 흐르게 한다. 현재 흑연이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로 가장 활발히 쓰인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배터리 기술 경쟁이 치열해져 흑연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를 고용량 실리콘으로 ... ...
짠맛 증폭시키는 숟가락 등장…저염 식습관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짠맛은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숟가락 손잡이 부분에는 배터리가 들어가며
전류
세기는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기린홀딩스는 짠맛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느끼는 차이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린홀딩스는 우선 자사사이트를 통해 숟가락 200개만 추첨 형식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