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쇄
드레곤프린
반팔 프린팅
printing
뉴스
"
프린팅
"(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싸고 빠르게...꿈틀대는 우주발사체 가성비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545kg, 높이 6m의 소형 우주발사체로 83kg 중량의 탑재체를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72시간 내 비크람-S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게 업체 측 설명이다. 우주발사체 소재로 가벼운 탄소 섬유를 이용해 무게를 절감하며 발사 비용도 낮췄다는 것이다. 파완 쿠마르 찬다나 ... ...
카타르 월드컵에선 인공지능이 '오프사이드'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8
것처럼 기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가니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으로 경기장의 축소모델을 만든 뒤 형태와 크기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에 의해 공기흐름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했다. 이후 시뮬레이션으로 관중 숫자에 따라 경기장 내부 온도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 ...
美에 세계 첫 '3D
프린팅
주택단지'...5일만에 한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18
아이콘은 3D
프린팅
을 이용해 주택 하나를 짓는 데 약 5~7일이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3D
프린팅
으로 정교하게 제작한 벽을 세우면 추가 지지대나 마감재가 필요없어 건설 폐기물이 줄고 건축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 목조 기반의 주택을 짓는 데는 약 16주가 소요된다. 이들 업체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메추리 알과 까치의 알이 색, 무늬가 다른 이유
2022.10.22
주로 관찰 연구를 합니다. 또 박물관에 있는 소장 자료들도 참고합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으로 가짜 알을 만들어 탁란, 포란 등을 연구하기도 합니다. Q. 생태학 연구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앞서 말한 대로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갖춘 전문 분야에 관계없이 누구나 ... ...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첫 우주인 탄생…'드림캐쳐'와 함께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2013년 우주인으로 선발됐다. 이번 임무에서는 150일 동안 ISS에 머물며 3차원(3D) 바이오
프린팅
이나 박테리아 배양 등 200여 건의 과학 실험을 진행한 뒤 지구로 귀환한다.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그 유산을 대표하게 돼 자랑스럽다"며 “사회에는 경계가 있는 분야가 있지만 이런 경계가 무너질 수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무기물 광학 인쇄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9
시간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안으로 빛을 이용해 소재를 쌓아올리는 '광학 3D
프린팅
기술'이 나왔지만 이 기술에서 사용되는 광경화성 고분자는 소재의 특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빛을 받으면 굳는 금속 '칼코게나이드'를 활용해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날아다니며 건축물 짓는 드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4
로봇을 건설에 도입하는 것은 정교한 시공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 역시 건설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철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론 형태가 자유로운 비정형 건축재 제작까지 3D 프린터가 맡는다. 연구팀이 개발한 건설드론은 제비 같은 동물이 날아다니며 ... ...
제비처럼 날며 정교하게 건물 짓는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물론 형태가 자유로운 비정형 건축재 제작까지 3D 프린터가 맡는다. 연구팀은 로봇과 3D
프린팅
기술을 모두 접목한 건설 드론을 개발했다. 제비 같은 동물이 날아다니며 둥지를 짓는 것에서 영감을 얻었다. 3D 프린터가 달린 드론이 날아다니며 직접 건축물 만든다. 또 다른 드론 하나는 함께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자 전사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조동우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7일 3차원(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혈관과 림프관이 포함된 인공 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향후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을 제작해 맞춤형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진짜 같은 인공장기 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첨가해 접착력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바이오
프린팅
, 신소재, 줄기세포와 같은 기술을 접목하면 더욱 진짜 같은 인공장기를 제작할 수 있다"며 "향후 로봇이나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정교하고 자동화된 인공장기 제작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진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