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뉴스
"
학위논문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필즈상 후보](9) 기후변화 예측하는 방정식을 푸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2.06.18
아이반 코윈 교수. 컬럼비아대 제공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는 세계 수학자들의 유엔총회라고 할만큼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행사입니다. 하지만 올 7월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릴 예정이던 세계수학자대회(ICM)는 현지 개최가 무산됐습니다. 국제수학연맹(IMU)이 러시아의 우크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오렌지와 비타민C 분자모형을 들고 있는 폴링(1901-1994). 위키피디아 제공 “이처럼 논란이 되고 있는 비타민C 대량 복용 요법은 아직 정통 의학계에서는 인정을 받지 못한 채 민간 요법 차원에서 개인의 선호에 따라 시행될 뿐이다. 지금까지 살아남은 가장 큰 이유도, 비타민C를 대량으로 복용해도 ... ...
IBS 새 연구단장에 최초로 행성 연구자 임명…DLR 출신 이연주 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이연주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 및 지구과학 연구단 단장 겸 '행성대기그룹‘ CI 단장 기초과학연구원(IBS)에 새로 설립되는 연구단의 신임 단장에 금성 대기를 연구한 30대 여성 행성 기후학자가 선임됐다. 지금까지 지구과학과 우주론을 탐구하는 연구자가 IBS 단장에 선임된 일은 있지만 지구가 ... ...
[과기원은 지금] 김주호 KAIST 교수팀, 올해 ACM CHI 최우수논문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20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KAIST 제공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팀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열린 미국 컴퓨터협회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 학술대회(ACM CHI)에서 최우수논문상과 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최우수논문상은 전체 논문 중 상위 1%의 논문에, 우수논문상은 상위 5%의 ... ...
국제핵융합실험 이끌던 베르나르 비고 ITER 사무총장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베르나르 비고 ITER 사무총장(사진)이 지난 14일(현지시간) 질병으로 별세했다. ITER 제공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을 위한 국제 협력을 이끈 베르나르 비고 ITER 사무총장이 지난 14일(현지시간) 질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2세. ITER는 지난 14일 이 같은 소식을 전했다. 고인은 2015년 3월부터 ITER 사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엘리트 과학자는 과학에 도움이 되는가
2022.05.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당신이 엘리트라면 두 가지를 생각해보세요. 첫째, 엘리트가 되기까지 열심히 노력했지만 그것이 곧 당신이 이점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겁니다. 또 실제로 당신이 원하는 바로 그 삶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당신이 엘리트가 아니라면, 그것은 당신 잘못이 아 ... ...
'바람 잘 날 없는' 구글 AI팀…자사 논문 문제제기 연구원 해고
연합뉴스
l
2022.05.03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구글이 미래 회사 성장동력으로 집중 투자하는 인공지능(AI) 기술 개발팀에서 내부 갈등에 따른 해고 등 파열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구글이 반도체를 설계하는 AI를 개발했다는 자사 논문에 문제를 제기한 직원을 해고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2일(현지시 ... ...
장진아 포스텍 교수, 美 생산공학회 ‘젊은 생산공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장진아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포스텍은 장진아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교수(35)가 미국 생산공학회(SME) ‘젊은 생산공학자상’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 수상자 22명 중 유일한 한국인이며 이번 수상으로 10여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인 수상자가 나왔다. SME 젊은 생산공학자상은 제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자발적 노력
2022.04.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오래도록 우려하던 메가톤급 태풍이 드디어 대학가에 밀어닥치기 시작했다.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교수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앞으로 20년 이내에 전국의 385개 대학 중 190개 정도만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9만 명이 넘는 교수의 수도 30년 전 수준인 5만 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 ...
중학교 교사 출신 한국인 수학자, 이산수학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6
박진영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교수. 스탠퍼드대 제공 국내에서 중학교 수학 교사로 일하다 미국으로 넘어가 유학 중인 한국인 수학자가 이산수학에서 난제로 꼽히던 ‘칸 칼라이 추측’을 증명했다. 계산하기 쉬운 근사치만 구해도 실제 구하고 싶은 임계값과 비슷한 수치가 된다는 추측으로 참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