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장"(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은 지금] KAIST, 그래프 기계학습 가능한 스토리지 가속기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2.01.11
- 미칠까?’를 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책은 멤피스대학 심리학과 교수이자 문과대학 부학장으로 언어심리학을 연구하는 로저 크루즈가 저자로 참여한 저술서 ‘체인징 마인즈(Changing Minds)’를 번역한 책이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 센소리움연구소 등 ... ...
- 유방영상의학회 및 유방검진의학회장에 서보경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2.01.03
- 대한유방검진의학회 부회장 등 왕성한 학회활동을 펼쳐왔으며 고려대 의대 학생부학장, 고려대 안산병원 영상의학과 임상과장을 역임했고, 현재 고려대 안산병원 교육수련부장을 맡고 있다 ... ...
- 한종희 삼성 부회장·구현모 KT사장·이상률 항우연원장 등 45人공학한림원 신규 정회원동아사이언스 l2021.12.28
- 삼성전자 부회장 등 8명이 뽑혔다. 기계공학 분야에선 김용찬 고려대 기계공학부 공과대학장, 김현진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민경덕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이기형 한양대 기계공학과 교수, 이승섭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이중희 전북대 나노융합공학과 교수, 김세훈 현대자동차 ... ...
- 메타버스 도입한 서울대 공대 웹진, 뉴욕 페스티벌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1.11.25
- 새로운 방식의 소통을 기획하고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병호 서울대 공대 학장은 “서울대 공대와 사회가 소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이번 국제적 수상을 통해 공과대학의 혁신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강화해 가겠다”고 말했다 ... ...
- 취임 2년 이용훈 UNIST 총장 "울산 제조업 '탄소중립' 혁신 이끌겠다” 2021.11.25
- 전기공학을 공부했다. 1989년부터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해오다 KAIST 공대 학장과 교학 부총장을 거쳐 2019년 11월부터 UNIST 4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이 총장이 부임하고 2년 동안 UNIST는 정부의 정책적 트렌드나 현안을 따라가는 반응성이 매우 빠른 연구 중심 대학으로 변모했다. UNIST는 ... ...
- [과학게시판] 2021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온라인 성과전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1.11.08
- 경남 김해여고가 동상을 받았다. ■서울대 공대는 지난 4일 서울 관악구 공대 학장접견실에서 한국전력공사와 서울대 국제에너지정책과정(IEPP) 운영협력을 통한 해외사업 발굴 및 교육지원 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에너지사업 관련 IEPP 교육협력 및 ... ...
- 박중신 서울대병원 교수,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장 취임동아사이언스 l2021.10.07
- 신임 이사장은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 교육연구부장, 서울대 의대 교무부학장,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 회장을 지냈다. 대한의학회 부회장, 대한모체태아의학회 부회장, 한국의학교육학회 부회장, 아시아오세아니아 산부인과학회 집행이사,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장직을 맡고 ... ...
- 델타 뛰어 넘는 최강 변이 아직 없다동아사이언스 l2021.09.09
-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아쉬쉬 자 미국 브라운대 공중보건학 학장이 6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을 인용하며 “뮤와 람다 변이, C.1.2에 대해 여전히 알아가는 중이지만, 이들이 델타 변이를 대체할 것 같지는 않다”고 전했다. 뮤 변이는 올해 5월 남미에서 ... ...
- [팩트체크] mRNA 백신에 산화 그래핀이 들어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1.09.07
- 근거가 확인되지 않아 FDA나 식약처에서는 그래핀을 체내용으로 승인하지 않는다. 오 학장은 "그래핀은 근적외선을 받으면 온도가 올라가는 특성이 있어 체내 주입용보다는 진단키트와 같은 체외용으로 많이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에는 산화그래핀이 그래핀과 달리 물에 잘 녹고 ... ...
- mRNA백신 핵심으로 떠오른 ‘나노전달체’ 신소재가 뜬다동아사이언스 l2021.08.30
- 이 재료들은 핵산을 감쌀 만큼 입자가 커지면 세포 독성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오 학장은 “추후 유전자 편집이 가능한 유전자 치료제도 나노 전달체에 싣게 될 것”이라며 “이들을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원하는 곳까지 정확하게 전달할 정교한 핵심 소재와 제조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