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국
유화
황화현상
경화
가류
뉴스
"
황화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차세대 양자점 태양전지 출력전압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9
연구팀은 양자점 전압 손실 원인으로
황화
납 양자점 재료의 구조적 특성을 꼽았다.
황화
납 양자점 재료의 경우 빛을 흡수할 때와 방출할 때 스펙트럼에서 최대 파장 값의 차이가 매우 컸다. 즉 재료의 구조적 특성이 전압 손실을 일으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압 손실을 ... ...
부부 머리 맞댄 '나노 입자 리모콘', 세계 최초로 미세 액체방울 원격조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물방울이 자석에 끌려 움직였다. 연구팀은 자성에 끌리는 산화철과 끌리지 않는
황화
납의 비율을 조절해 움직이는 속도와 강도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레이저를 쏘면 부분적으로 액체 방울 일부가 가열되며 대류 현상을 일으켰다. 그 결과 액체방울이 회전하면서 서로 모여 마치 벌집 같은 ... ...
소금으로 배터리 개발… “리튬 고갈 염려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6
학술지인 ‘스몰’ 11월 24일자에 게재됐다. 나트륨 이차전지용 초미세 주석
황화
물 전극소재는 100회가 넘는 충·방전에도 전지 용량이 초기용량 대비 약 65~80%수준으로 유지됐다. -한국연구재단 ... ...
발리 아궁 화산 대폭발 임박 ,역대 최대 규모 분출 또 일어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01
안산암질 마그마 때문이다. 안산암질 마그마는 점도가 높아 마그마 내부에 수증기나
황화
수소 같은 각종 화산 가스를 가두기 쉽다. 마그마 내부 압력이 쌓이다 풍선이 터지듯 한 번에 폭발하기 때문에 분출 규모가 크다. 반면 같은 화산이어도 하와이의 화산은 점도가 낮은 현무암질 마그마라 ... ...
호흡으로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센서는 기존 백금이나 팔라듐 촉매보다 3~4배 이상 감지 특성이 향상됐다. 아세톤이나
황화
수소 가스는 1ppm에서 감도가 100배 수준으로 올랐다. 연구팀은 사람의 지문을 인식하듯 날숨 속 가스 정보를 패턴화해 누구나 쉽게 건강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판별할 수 있는 질병진단 플랫폼도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05.21
걸러 우주먼지를 찾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우주먼지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우주먼지 속
황화
광물이나 탄산염광물이 물과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성분이 변해 있는 경우가 많다. 극지의 눈은 우주먼지를 찾을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다. 깨끗한 얼음 결정이 우주먼지를 둘러싸고 있어서 오염이 없고,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극한 상황에선 어떻게 생명 활동을 하는지 찾는다. 빛과 유기물이 거의 없는 심해에는
황화
수소나 메탄으로 생명 활동을 하는 독립영양세균들이 있다. 이렇게 특이한 형태로 생명 활동을 이어가는 생물을 발견한 덕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물기둥을 발견한 것을 ... ...
[카드뉴스] 파마에 대한 궁금증 3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4.27
1제)가 머리카락의 주성분인 케라틴 단백질에 수소를 공급해 아미노산의 시스틴결합(
황화
결합)을 깨트리면, 단백질 구조가 느슨해지면서 머리카락이 유연해집니다. 이때 원하는 모양으로 머리카락을 구부린 뒤 산화제(2제)를 사용해 환원제가 공급했던 수소를 빼앗으면 다시 시스틴결합이 생기면서 ... ...
징그러울 정도로 거대한 환형동물...신기한 생태의 거대배좀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지역으로 보통의 생물은 살수 없는 곳이다. 거대배좀벌레의 아가미에 사는 박테리아는
황화
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해 주변 물질을 유기물로 만들어 거대배좀벌레에게 공급한다. 마치 녹색 식물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기물로 바꾸는 과정과 유사하다. 미국 노스이스턴대 다니엘 ... ...
신재생에너지 세계 여는 숨은 열쇠… 값싼 ‘촉매’를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에너지과학과 교수팀은 구리 필름 위에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단위로 가공한
황화
몰리브덴(MoS₂) 입자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백금에 필적하는 새로운 수소생산용 촉매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3월 3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신 교수는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