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련
문화
지식
지혜
지성
문명
정신문명
스페셜
"
교양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1989년 교재 ‘Synesthesia: a union of the senses(공감각: 감각의 융합)’을 출간했고 1993년
교양
과학서 ‘The man who tasted shapes(형태의 맛을 보는 남자)’를 펴냈다. 이를 계기로 공감각은 대중매체의 관심거리가 됐고 여러 심리학자와 신경학자들이 공감각 연구에 뛰어들었다. 1980년대 공감각에 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공격에 영양학계에서 사실상 매장됐고 1971년 은퇴했다. 이듬해 설탕의 유해성을 다룬
교양
과학서 ‘Pure, White & Deadly’을 내기도 했지만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고 학계에서 잊혀져 1995년 85세로 쓸쓸히 생을 마쳤다. 2월 16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의 저자는 미국 컬럼비아대 사회의과학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별종 포유류 체계적으로 정리된 교재를 읽는 것만은 못하겠지만 한 주제를 폭넓게 다룬
교양
과학책을 읽는 것도 숲을 보는데 도움이 된다. 지난주 읽은 ‘헤어(Hair)’라는 책도 그런 경우다. 30여 년 동안 털을 연구해온 피부학자 커트 스텐은 이 책에서 털의 과학과 문화사 등 다양한 측면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받았다. 그 뒤 그는 자신의 삶과 연구를 뒤돌아보는
교양
과학서를 집필했지만 아쉽게도 출간을 보지 못하고 지난 5월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작이 된 ‘Messages from Islands’는 지난주 출간됐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개설이 유행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실제로 미국의 음악계와 학계에서 '딜런 읽기'는
교양
필수 과정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는 록의 40년 역사에서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 비틀스(The Beatles) 그리고 롤링 스톤즈(Rolling Stones)와 함께 최정상의 위치를 점하지만 이들 '전설의 빅 4' 가운데에서도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하루아침에 물리학계의 스타가 됐다. 그 뒤 언론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1988년 펴낸
교양
과학서 ‘시간의 역사’가 수십 개 언어로 번역돼 천 만부 이상 팔리면서 세계적인 유명인사가 됐다. 호킹의 상태는 꾸준히 악화돼 이 무렵에는 사지가 사실상 마비되고(손가락을 꼼지락거릴 수 있었다) 말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성을 계속 썼다. 탁월한 저술가인 아버지의 피를 물려받아서인지 자딘도 전문서적과
교양
서적을 열일곱 권이나 썼다. 이 가운데는 ‘The Curious Life of Robert Hook’(2003), ‘On a Grander Scale’(2002) 같은 과학자와 건축가(크리스토퍼 렌)의 전기도 있다. 자딘에게 저술가로 명성을 안겨준 대표작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9세의 나이에도 45년째 면역실험실 실장으로 왕성히 활동하며 지난 9월 8일 일반인을 위한
교양
과학서 ‘Immunity(면역)’도 출간했지만, 열흘 뒤 그 자신 면역세포의 암으로 사망했으니 인생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원리(Principles of Paleontology)’를 펴냈고(한글판이 나왔지만 절판됐다), 일반인을 위한
교양
과학책 ‘네메시스 사건(The Nemesis Affair, 1986)’과 ‘멸종(Extinction, 1991)도 냈다(둘 다 미번역). 이들 책에서 라우프는 대량멸종이 진화에 미친 영향이 큼을 보여주면서 대량멸종이 유전자가 나빠서라기보다는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이름으로 개발 중이던 원자폭탄이었다. 사실 작가는 단지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교양
물리학 책을 보고 과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원자폭탄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을 뿐이었다. 1945년에 핵폭탄이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뒤, SF작가들은 원자력의 가공할 위력에 담긴 또 다른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