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치
허비
지출
감손
줄어듦
스페셜
"
낭비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KOITA
l
2014.12.01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나오는 제품들은 모터 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 기술’로
낭비
되는 전력을 줄여 공기 출구 온도를 낮췄다. 제습기에서 발생한 열로 다시 전기를 만들어 제습기에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 오해와 진실 2. 에어컨보다 전기료가 싸다? 제습기도 전기먹는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연구들을 업데이트하는 노력을 게을리한 결과 엄청난 연구비와 아까운 15년의 세월을
낭비
한 것. 매주 필자가 열심히 쓰고 있는 과학카페의 글도 수십 년이 지난 뒤 살펴보면 절반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좀 착잡하다. 사실 이런 일은 벌써 일어나고 있어 필자는 수정이나 ... ...
단식의 과학
2014.06.16
모르겠다. 그럼에도 필자에게 깊은 인상을 준 ‘단식의 과학’을 소개하는 것도 큰
낭비
는 아닐 거라는 ‘믿음’에 잡지 기고문과 책, 리뷰 논문의 내용을 요약해본다. ●몸은 진화적으로 단식에 적응된 상태? 먼저 맷슨 박사는 진화의 측면에서 단식의 유효성을 얘기하는데 꽤 설득력이 있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전력량 가운데 5%만이 불을 밝히는 데 쓰이고 나머지 95%는 열에너지로 발산되므로 그동안
낭비
의 대명사로 알려졌다. 에디슨의 기업가 정신은 자신의 회사뿐 아니라 미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에디슨의 과학적 방식은 기술과 기계분야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것이다. 애써 물을 데워 증기로 만들었다가 다시 냉각시켜 물로 만들게 되므로 열이
낭비
되는 것이 뉴커먼 엔진의 가장 큰 단점이었다. 와트는 실린더를 냉각하지 않는 대신 한 번 피스톤을 밀어올린 뜨거운 증기를 다른 곳으로 보내 거기서 냉각시키면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피스톤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
KISTI
l
2014.01.16
단순하다. 어차피 조명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기에너지의 대부분을 열로
낭비
하는 백열등과 형광등이 점점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로 교체되고 있다. 비싼 돈 들여서 LED 조명으로 교체하는데, 통신기술까지 더하면 1석 2조라는 게 연구자들의 생각이다. 라이파이가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 ...
[웹툰] 오줌 분수
KOITA
l
2013.12.12
우리는 물로 대소변을 내리는 수세 변기에 반기를 들었습니다. 수세 변기는 물
낭비
가 심하고 소변과 대변에는 N, P가 많아 하수처리장에서 잘 처리하지 않고 방류 시 조류가 발생합니다. 또한, 오줌과 똥의 가치를 손상하기 때문입니다. 바다 건너서(서양) 온 이 수세 변기가 맞는 걸까요? 우리는 수세 ... ...
인간게놈이 양자컴퓨터를 만났을 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서 있다. 대학에서야 공짜로 지어준다니 덥석 받았겠지만 텅텅 비어있는 게 좀 돈
낭비
라는 생각도 든다. 차라리 양자컴퓨터를 한 대 사줘 우리 과학자들도 미래를 사는 경험을 하게 해주는 게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멈춘다. 이는 다른 포유류도 마찬가지로 젖당분해효소 발현 패턴은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
하지 않는 자연선택의 놀라운 힘을 잘 보여주는 예로 꼽힌다. 아무튼 어른은 구조적으로 젖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게 디자인돼 있고 이를 무시하고 우유를 마시면 젖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라는 증상을 ... ...
미래 보건의료산업
KOITA
l
2013.08.09
시금석이 될 것이다. 진단서를 뗄 필요도 없어질 것이며, 사진 복사하느라 시간과 비용을
낭비
하는 일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사보험가입 거부와 같은 부작용 해소가 선결된 후의 이야기이지만 말이다. 맞춤의학의 시대가 온다 똑같은 질병으로 진단받은 두 사람이 똑같은 약을 처방받아 치료를 하는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