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스페셜
"
단일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이 조직의 형태, 크기, 세포, 구성 등이 실제 사람의 배반포와 유사다는 것을 확인했고
단일
세포 RNA 시퀀싱을 이용해 이 조직을 분석한 결과 RNA 성분도 비슷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호세 폴로 호주 모나시대 발달생물학및해부학부 교수팀은 세포의 유전자를 조절하는 재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해 ... ...
[랩큐멘터리]지구에서 가장 높은 열보다 THE 뜨거운 연구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이용한 열전달 최대치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전한 시스템 설계 연구를 병행한다.
단일
연구실 규모라고 보기에 어려운 총 6개의 실험실을 운영하는 만큼 열유체와 상변화 열전달 현상에 대한 복잡한 실험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특히 실험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 ...
한국인 주도 日연구진 “코로나 바이러스, 이틀 만에 체내 배출량 최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기법으로 발표한 논문만 4편이다. 인간의 유전체에서 개인의 유전적 차이를 결정하는
단일
염기다형성(SNP)에 따라 에볼라 바이러스의 침투 능력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세포 수준에서 실험한 데이터를 이용해 수리 모델링을 진행했고, 뇌막척수염을 일으키는 보르나병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에 ... ...
하버드대의 코로나 전략, 핵심은 '변이에 앞서는 대응'
연합뉴스
l
2021.03.18
환자의 혈장과 현재 임상에 쓰는 치료 항체를 모두 회피했다. 두 종류의 항체를 섞은
단일
클론 항체 칵테일을 써 봤더니, 하나는 완전히 저항하고 다른 하나는 야생형의 4분의 1 정도로 중화 효과가 떨어졌다. 이들 8개의 변이가 똑같이 항체에 저항하진 않았다. 다만, 2개는 자연 항체와 인공 항체 ... ...
美CDC "백신 접종자 마스크 벗고 감염위험 낮은 미접종자 만나도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미접종자도 만날 수 있다고 권고했다. 다만 백신 미접종자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적은
단일
가구여야 하며 실내에서 만나야 한다는 조건이 달렸다. 백신 접종자는 증상이 없는 코로나19 감염자에 노출됐더라도 격리나 검사를 생략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다만 14일 간 증상 발현 유무를 확인해야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지름이 305m로 2016년 지름이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연구에 활용됐다.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인 조지프 테일러와 러셀 헐스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때 인체 면역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로 2만건 이상의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단일
분리주를 대상으로 심층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 이 중 747개의 분리주를 대상으로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석을 결합한 심층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진의 분석결과 일부에서 변이 펩타이드가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차세대 초거대망원경이다. 직경 8.4m 원형 반사경 7장을 벌집 모양으로 배치해 구경 25.4m의
단일
반사경과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GMT 가동 예상 시점은 2029년이다. 가동이 시작되면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10배 선명한 천체 영상 관측이 가능하다. GMTO는 “GMT는 인류 역사상 가장 먼 우주를 ... ...
[랩큐멘터리]밝혀지지 않은 생명현상의 미스테리를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미스테리를 밝힐 수 있고 생명현상에 대한 경외감마저 느낄 수 있다. 포스텍
단일
분자 생물물리학 연구실 바로가기 https://youtu.be/7tRykF6aCzA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개발된 후보 항체치료제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이체에도 효과가 있을 것인가?
단일
클론항체의 가장 큰 특징은 한 가지 항원의 특정한 위치(Epitope)에만 강하게 결합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항체가 붙어야 할 위치에 돌연변이가 생기게 되면 결합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중화항체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