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확산
유행
스페셜
"
만연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활동한 통계학자 윌리엄 파는 그래프를 잘못 활용한 경우다. 그는 1840~1850년 사이에
만연
했던 콜레라에 주목했다. 콜레라 사망자 수와 기온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의심한 파는 “눈에 충격을 주는 방식으로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그래프를 그렸다. 안쪽 작은 그래프는 주별 평균온도고, 바깥 큰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그레고리 힉콕(Gregory Hickok) 교수가 쓴 책으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
만연
돼 있는 거울뉴런 만능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오늘날 팔방미인인 거울뉴런의 기초연구가 너무 부실하다는 것. 원숭이는 개별 뇌세포에 전극을 꽂아 거울뉴런을 확인했지만 사람은 아직까지 fMRI 같은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그럼에도 2014년 수능 문제처럼 전문가들이 최신 지식을 업데이트하지 않는 상황이
만연
해있다고 한다. 그 결과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며 1992 한 연구사례를 언급하고 있다. 당시 하버드대 연구자들은 심장마비 치료제인 스트립토키나제의 임상시험 33건을 모두 검토했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2005년 예시바대로 자리를 옮겨 학교 부설 윤리학센터 소장을 겸임했다. 애쉬는 사회에
만연
돼 있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고 여성의 낙태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 애쉬는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달로 태아기 검사와 선택 중절로 장애가 예상되는 아기를 없애고 한 걸음 더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반면 미생물에는 여전히 시달리고 있다) 제2형 면역계가 할 일이 없어져 알레르기가
만연
하게 됐다는 것. 실제로 알레르기성 장염증질환을 고치는 방법으로 기생충을 먹는 요법이 실시돼 효과를 보기도 했다. 그런데 이토록 광범위한 알레르기가 단지 기생충을 통제하는 면역계의 오작동 결과일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내용 중에는 사실뿐 아니라 신화도 있다는 구절이 나온다. 게다가 이런 사례는 과학계에
만연
해 있다는 것. 기고문은 참고문헌 둘을 여러 차례 인용하고 있는데, 하나는 2004년 출간된 ‘Fabulous Science: Fact and Fiction in the History of Scientific Discovery(기막힌 과학: 과학발견사의 진실과 허구)’라는 책으로 ... ...
일본 공업기술 100년간의 온고지신
KOITA
l
2013.08.28
추월을 허용할 정도로 장기간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며 일본에 대한 회의론이 세계적으로
만연
했었던 점을 생각해보면 놀라운 변화다. 사실 일본의 부진은 착시효과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애초에 비교부터 불공정했던 것이, 전자, 조선, 철강, 자동차 등 한국이 나름 ‘잘 나가는’ 분야만 비교 ... ...
미래 농산업
KOITA
l
2013.08.20
함께 지구 부존자원의 한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그리고 인구 고령화와 성인병의
만연
등으로 식품소비 행태 변화가 진행되면서 농업을 미래녹색성장산업의 핵심축으로 변환·육성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래산업으로서 한국농업의 성장가능성과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같지만 결과는 전혀 다른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이다. 토브스는 “오늘날 비만의
만연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연구자들이 비만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실패했고 식품회사들이 이를 이용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토브스는 ‘로라와 존 아놀드 재단’의 지원 아래 내과의사 피터 아티아와 함께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왠지 밀은 몸에 안 좋은 곡물이라는 인식이 은연중에 깔려있는 듯하다. 오늘날 아토피의
만연
을 밀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물론 쌀과 달리 밀은 일부 사람들에게 심각한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밀은 쌀이나 다른 곡물은 줄 수 없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갖는 음식을 만드는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