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유행하던 탄저병 연구에 뛰어든 그는 탄저병에 걸린 쥐의 피에 길쭉한 모양의 미생물이
존재
함을 발견했다. 그는 한 종류의 새균만을 순수배양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했으며 특정 세균이 특정 감염병의 원인임을 증명하려면 아래 네 가지 원칙을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병원균은 질병을 앓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둘러보면 '소중한
존재
'가 있다
2023.09.09
그러다가 없어지고 나서야 뒤늦게 뭔가 크게 잘못 되었음을 내 안에서 그 사람의
존재
가 결코 작지 않았음을 깨닫곤 한다. 우리가 우리에게 주어진 기적과 같은 사랑들을 회피하지 않고 마음껏 음미할 수 있길 바래본다. Lakey, B., & Cassady, P. B. (1990). Cognitive process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매매 합법화하면 성폭력 줄어들까
2023.09.02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는 굳건한 믿음을 보이고 여성은 믿을 수 없고 겉과 속이 다른
존재
라는 여성을 향한 적대적 인식을 보인다. 또한 자신이 매력이 있든 없든 여성들은 자신을 받아들여줘야 한다는 이상한 자격의식을 보이는 등 “여성과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보이는 것이 성범죄자들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위상과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과기정통부를 위해
존재
하는 현실은 명백한 비정상이다. 이제 과학기술이 달라져야 한다. 과학기술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에만 매달리는 비겁한 자세는 확실하게 버려야 한다. 물론 국가 지도자의 관심이 과학기술 발전의 중요한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물려받은 유전정보를 담은 생식세포 내 DNA 염기서열에 변화를 주지 않지만 이미
존재
하는 DNA에서 RNA 또는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DNA 염기서열 변화만큼이나 형질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세포 분열 과정에도 지속될 정도로 안정적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반응이다. 최근 한 드라마에서도 남자 주인공이 30년 만에 만난 옛 애인과 그동안
존재
를 몰랐던 딸과 함께 한 여행에서 갑각류 알레르기 해프닝이 벌어진다. 식당 직원에게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다고 알려 안심하고 매운탕을 먹는데 딸이 국자로 덜다가 새우를 발견하고 아버지를 쳐다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공기에 오염된 물질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여겨졌다. 악취도 공기에 나쁜 물질의
존재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었으니 오늘날의 위생 이론과 유사한 점도 있었다. 1850년대에 크리미아 전쟁이 일어났을 때 젊은 여성들을 이끌고 참전하여 병원의 위생시설을 개선함으로써 환자 회복에 큰 공헌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할 수 있는 '작은 성취'로 자신감 키우기
2023.08.19
짊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과거의 사람들보다 더 많은 불확실성과 불안,
존재
론적 고민을 안고 살아가게 되었다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 보상의 지연이 심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만성적인 불안과 스트레스의 원인이라면 반대로 보상이 즉각적인 쉽고 재미있는 일들을 많이 만들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진행 중이다. 그 과정에서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총괄‧조정 역할을 담당하는 혁신본부는
존재
감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엎친 데 덮친다고 과기정통부 장관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서 과학기술의 ‘비효율’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지난 정부에서 국가연구개발 예산이 10조 원이나 크게 늘어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소개한 책이다. 재작년 연말 출간됐음에도 여전히 베스트셀러인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
하지 않는다’를 뒤늦게 읽다가 이 책의 제목에 영감을 준 책이라기에 궁금해 읽어봤는데 평소 분류학에 관심이 많은 필자에게는 큰 도움이 됐다. 다만 2009년 출간됐음에도 여전히 한글판이 없다는 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