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친구들"(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2017.10.06
- 날이 얼마 안 남았다던가 삶의 유한함을 직면한 경우 크고 거대한 성취보다 가족들이나 친구들과의 행복한 시간 같이 소소하지만 즐거운 일들에서 더 큰 의미를 느끼는 현상이 나타난다(Hicks et al., 2012). 의미라면 뭔가 거창한 무엇이 있어야만 성립될 것 같지만 생각보다 별 거 없다는 것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같은 맥락이다. 이분이 미대를 다닐 때 교수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그림을 잘 그리던 친구들이 몇 명 있었는데 어떻게 된 영문인지 이 가운데 누구도 화가가 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반면 (이분처럼) 붓을 놓지 않고 꾸준히 작업을 해온 소수의 미술학도만이 화가가 되는 꿈을 현실로 만들었다.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잘 느끼지 않는다. GIB 제공 사회공포증을 보이는 사람은 자신을 좋아해주는 친한 친구들과 함께라면 편안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과 달리 비사회적인 사람들은 일단 친밀한 관계의 수가 적고 친밀한 관계가 있다고 해도 이들과 보내는 시간을 즐기지 않는다. 비사회적인 사람들은 사랑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숫자라는 것이다. 임팩트팩터가 높은 저널에 논문을 싣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필자의 친구들을 떠올리면 씁쓸한 웃음이 나올 뿐이다. 또 다른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는 오늘날 과학자가 너무 많은데 비해 연구비는 정체돼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생명의학 분야의 박사후연구원이 적어도 4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엘렌이 학교 끝나고 집에 돌아오자 엄마가 “학교 잘 다녀왔니?”라고 물으면 “네”, “친구들도 많이 사귀었고?”, “그럼요”라고 대답하는 광경을요. 그러던 어느날 엘렌이 사라졌어요.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간 것이죠. 그걸로 끝이었어요. 사실 나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엘렌에게 친절한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정도 사귀었으면 당연히 성관계를 가져야지’라는 압박이라고 한다. 남자친구나 주변 친구들의 압력에 의해 자기의 의사에 반하는 관계를 억지로 갖는 일이 빈번하다고.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주변의 압력과 상관 없이 내 몸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결정하는 힘을 기르는 것, 또 내 몸은 온전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잔가지를 모으러 주변으로 흩어졌다. 이정도면 됐나 싶어 고개를 돌리는데 불을 피우던 친구들이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보인다. ‘뭐하는 거야?’ 가까이 가니 불을 피우다 주변으로 불똥이 퍼져 몇 군데 불이 붙어 허겁지겁 끄고 있는 상황이었다. 놀란 필자는 땔감을 내던지고 뛰어갔다. 물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2017.01.17
- 별 생각이 없었던 것 같은데 쉰을 앞둔 올해 새해를 맞으면서는 좀 착잡하다. 필자 친구들도 비슷한 기분인 것 같다. 10년 전만 해도 몸의 노화를 거의 느끼지 못했지만 40대를 지나며 하락세가 뚜렷해지면서 더 그런 것 같다. 그런데 나이 오십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심란한 시기가 아닌가 하는 ... ...
- 올해도 내년에도 목표는 금연2016.12.21
- 불안하고 초조하지 않아도 담배를 피운다. 습관 때문이다. 흡연자들은 식사 후나, 친구들과 어울릴 때, 화장실을 갈 때, 아침에 일어나서 등 특정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담배를 찾는다(이경임, 2010). 특히 여성의 경우, 흡연하는 여성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 무의식적으로 학습되면서 혼자 ... ...
- [멘탈테스트] 당신은 얼마나 멘탈이 강한 사람입니까2016.10.25
- 있으려 하지 말고 취미활동을 하거나 억지로라도 밖에 나가서 기분전환을 하거나 친구들과 대화를 하는 등 긍정적 정서를 느껴주는 것이 꼭 필요하다. 그래야 스트레스의 악영향을 견디고 빨리 소진되지 않을 수 있다. 치유 뿐 아니라 긍정적 정서는 문제 해결의 원동력이 되어주기도 한다. 예컨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