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비싼 외계 탐사용 우주선으로 1995년 12월 7일 목성에 도착하면 22개월 동안 목성을 10번
정도
선회하여 목성 및 그 위성의 사진을 찍는 등 목성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게 될 것이다.이와 같이 외계 탐사용 우주선은 최첨단의 각종 실험 장치를 싣는 가장 발달된 인공위성이다. 우리나라도 우주의 신비를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행사를 발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몇군데서는 초보자들을 모아 공개관측회도 같고 어느
정도
수준에 오른 사람들은 사진촬영대회도 가져 시상도 하면 더욱 좋을듯 싶습니다. 그러려면 기존 아마추어천문인구가 대폭 늘어나야 되겠지요.최현 실제로 관측에 들어가보니 아주 구체적인 조건들을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대학의 생물학과에서도 분류를 그리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는 추세예요. 그저 개념
정도
나 배우는 상태이니까요. 저도 사실 이번 탐사를 마치기 전까지만 해도 분류학을 한물간 학문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이제는 분류야말로 생물학의 기초중의 기초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다만 식물명이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우수한 학생들에게도 상급학교 진학에 특전을 부여한다고 들었다.올림피아드에 출전할
정도
라면 적어도 그 과목 만큼은 성적이 우수하고 대학에서 그 과목을 훌륭히 소화해 낼 사람이 틀림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우리나라 대표단은 거의 전부가 대학입시에 쫓겨 이중의 부담을 져야만 했다.필자의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임무로 삼았다. 우주공간에서의 체류기간은 경쟁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초기에는 1일
정도
체류하다 지구로 귀환했으나 현재는 미국의 우주왕복선이 개발됨에 따라 항공기 형태로 지구귀환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체류기간도 급속히 늘어났다. 원시적 형태의 우주정거장은 옛 소련에서 발사한 ... ...
임산부 흡연 「밀실 살인」행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아직도 담배를 선호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때 우리 사회를 지배했고 현재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여성은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는 도덕적 강박관념이 작용해 오히려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흡연 인구 대열에 동참하지 못하는 것 같다.젊은 여성층의 흡연인구가 줄지않음은 곧바로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분화구로 들어온 놈들이다. 흡혈파리의 피해는 성숙한 수컷사자 대다수를 죽게 할
정도
였으므로 새로운 피(사자)가 들어와야 했다. 최근의 분화구내 사자집단은 근친번식에 빠지게 된 1969년 이래 5세대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분화구의 사자들은 지난 20년동안에 그들의 유전적 다양성의 10%를 ... ...
지리산의 식생과 환경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노고단 주차장까지 버스로 올라가는 도중 빗방울이 거의 멈추었다. 불과 5m 앞도 안보일
정도
로 깊게 낀 안개 사이로 탐사단은 행군을 계속했다. 목표는 반야봉(1천7백52m). 정상을 2,3㎞ 앞두고 비가 다시 거칠게 내리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70대의 노 교수가 이끄는 탐사팀은 '고집스럽게' 정상 만을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곳에 위치한 노란색 거성이다. 그 표면 온도는 3천8백도, 실제 광도는 태양의 1백50배
정도
다. 이 별은 주극성(周極星)으로 1년 내내 북쪽하늘에서 볼 수 있다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아열대 지역인 필리핀에서의 재배로 과거에는 12~14년 걸리던 볍씨개량 기간을 6~7년
정도
로 단축시켰다. 또 1만여종 이상의 국내외 볍씨를 수집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고 유전자원으로 활용하였으며 쌀의 질을 좋게 하는 방법과 병해충에 강한 유전자를 새로운 볍씨에 넣는 방법 등을 개발하게 ... ...
이전
1298
1299
1300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