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시무시한 공룡 멸종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멸종하게 된 자세한 과정이 41명의 과학자들로 이뤄진 국제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어요. 연구팀은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350개의 증거를 모아 멸종 시나리오를 만든 뒤, 그 내용을 3월 5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어요.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당시 멕시코에 지름이 10㎞인 운석이 초속 20㎞의 속도로 ...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돌아가셨어요. 조경철 박사님은 미국에서 천문학을 공부한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 최고연구원 등으로 활약 하셨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천문학이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져 있다는 점을 안타까워해, 1968년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 오셨지요. 이후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한편 한국천문학회장을 ... ...
- 두 손 모아 지구를 꼬옥~!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공학 및 응용과학대학 박사 과정 홍성강 연구원이 고분자 물질의 제조 방법을 연구하다가 촬영했답니다. “지구를 살리자, 푸르게 푸르게~!”라는 제목으로 지난해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주최한 ‘국제 과학, 공학미술 경연’에서 사진부문 대상을 차지했어요.큰 사진은 같은 대회 ... ...
- 개미 세계의 진정한 영웅 납시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이타적인 건 아니에요! 동물을 다른 장소로 가게 조종하는 병원체도 있다고요….그래서 연구팀은 다시 개미를 이산화탄소에 노출시켜서 죽게 만드는 실험도 했어요. 그런데 이 때에도 개미들은 죽기 직전 무리를 떠났다고 해요. 어때요? 동료와 무리를 죽음의 위험에서 구하기 위해 홀로 죽음을 맞는 ...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인터뷰우주인이 들려 주는 진짜 우주인 이야기캠프 마지막 날, 우리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우주인 후보였던 고산 형을 만날 수 있었어. 고산 형은 미래의 우주인을 꿈꾸는 우리에게 생생한 우주인 훈련 이야기를 들려 줬지. 그리고 꼭 우주에 가는 것만이 우주인이 되는 길은 아니라는 사실도 ... ...
- PART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길까?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주기가 있다는 근거를 들었다. 하지만 독일 과학자가 독일의 우승을 예상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가 애국심(?)의 결과라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이렇게 경기 결과를 예측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축구팬들은 여전히 “공은 둥글다!”라고 외친다. 경기 결과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으며 그래서 ... ...
-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듣고 보니 ‘전쟁은 문명의 어머니’란 말이 그럴듯하지 않니? 건강하기 위해서 질병을 연구하는 것처럼 평화로운 세상을 위해 전쟁에 관심을 갖고 생각하는 것은 분명히 필요한 노력일거야. 6·25전쟁 60주년을 맞이하며 전쟁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전쟁이 없는 날을 소망해 보면 어떨까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이번엔 다른 사내가 나섰다.“난 장갑수. 그냥 장도사라고 부르면 돼. 천문과 역법을 연구하지. 해와 달과 별은 물론 세상 이치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 내게 물어봐. 이래 봬도 태백산에서 100년이나 도를 닦은 몸이라구.”장도사의 목소리에선 허풍이 넘실넘실 흘렀다. 작달만한 키에 유난히 가늘고 ... ...
- 다면체로 즐기는 월드컵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축구공에 숨어 있는 수학을 수학동아 친구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5월 내내 축구공을 연구하셨거든. 축구공에는 어떤 수학이 숨어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자.깎은 정이십면체는 축구공을 닮았다!정삼각형 20개를 이리저리 움직여 입체도형을 만들면 정이십면체가 만들어진다.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을 ...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게놈과 환경, 특성의 관계를 여러 사람들과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자원자와 연구자, 윤리학자, 교육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개인게놈 시대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토론할 장을 마련할 것이다. Q. PGP는 10만 명의 게놈을 분석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이 필요한가? ... ...
이전1301130213031304130513061307130813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