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올해는 6개로 줄어 이번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역대 어느 공보다 구에 가까운 공을 만날
수
있다. ‘브라주카’는 세계 곳곳에 살고 있는 브라질인을 뜻하는 포르투갈 속어다. 공 표면의 디자인은 브라질을 가로질러 흐르는 아마존강을 나타낸다. 화려한 색채는 브라질 살바도르 사람들이 소원을 빌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공룡을 멸종으로 몰고 간 운석 충돌이 ‘보이지 않는 물질’인 암흑물질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하버드대 리사 랜들 석좌교
수
팀은 은하면 주변에 밀 ... 생긴 폭 20km이상의 크레이터를 분석한 결과 3500만 년 주기로 증감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 설득력을 더했다 ... ...
가재 앞다리 파워 본뜬 우주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미국 연구진이 갯가재의 앞다리를 본떠 항공기 소재보다 강한 물질을 개발했다.미국 UC리버사이드 데이비드 키사일러스 교
수
팀은 공작갯가재(Odontodactylus scyllarus)의 ... 충격에 잘 견딘다는 뜻이다. 키사일러스 교
수
는 “항공 우주, 헬멧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었던 구역은 눈에 띄게 대장균
수
치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앨름 교
수
는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보더콜리가 돌아다니면서 갈매기를 쫓아내기 때문”이라며 “여름철에 해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30층마다 1개층을 피난안전구역으로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화장실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층별 화장실 면적이 약 5%인 것을 고려하면 20층마다 1개층을 피난안전구역으로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 셈이다.신현준 위원은 “이 기술이 초고층건물의 화재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달랐다. “이번에 개발된 재료는 투명망토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도 없던 소재라고 할
수
있어요.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연구팀은 앞으로도 호기심을 갖고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겁니다.”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우리약초 이야기
수
라간에서 찾은 에코푸드문의_ (041) 950-5300국립생태원에서 6월에 만날
수
있는 야생화1. 금낭화 : 꽃이 매우 아름다워 ‘아름다운 주머니를 닮은 꽃’이란 뜻을 가졌다. 종자에 붙은 ‘엘라이오솜’이 개미를 유혹하여 개미를 통해 종자가 번식된다.2. 산마늘 : 지리산, 설악산 및 ... ...
다람쥐원숭이
수
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구분하지 못하던 우리 조상들을 현재의 모습으로 이끌었을까요. 이런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아직은 알지 못하지만, 언젠가 해답을 제시하는 날이 올 겁니다. 많은 영장류학자들이 이 숙제를 풀기 위해 지금 이 순간에도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열대 우림을 누비고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2014년 8월 서울에서 개최될 세계
수
학자대회의 하이라이트는
수
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
수
상식이다. 필즈상은 40세 이하의
수
학자에게 주 ... 아르키메데스의 머릿속에 더 풍부한 상상력이 있다”고 극찬했다. 이런 표현은
수
학사에서 아르키메데스가 차지하는 명성을 잘 보여준다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화학선생님이셨어요. 하얀 가운을 입고 실험실에 계신데, 그게 그렇게 신비로울
수
가 없는 거예요. 그래서 공업화학과(현 화학생물공학부)에 들어갔지요. 또 유학을 준비하면서 잠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연구한 적이 있는데, 거기에서 연료전지라는 말을 우연히 들었습니다. 그때가 25년 ... ...
이전
1303
1304
1305
1306
1307
1308
1309
1310
1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