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현재 8개의 행성으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는 9번째 행성인 ‘플래닛 나인’이 공전하고 있다고 추측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메이지 응구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원팀은 지구에서 336광년 떨어진 두 개의 중심별(쌍성계)을 1만 5000년 주기로 공전하는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건강생활을 확인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외양간은 과거 소나 말을 기르는 곳이었다. 부서진 외양간을 고치지 않아 소를 도둑맞은 다음 텅 빈 외양간을 고쳐봤자 소용없다는 말이다. 할 일을 제때 하지 않아 그르쳐서 후회한 들 소용없다는 교훈을 주는 속담이다.물론 과거 선조들의 뜻은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는 기조로 최대한 많은 과학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려 했던 곳이라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는 여러 대의 망원경을 연결해 구경을 수십~수백km로 높이는 간섭계 전파망원경이 아레시보의 자리를 대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피처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남다르다. 우선 스마트공장 맞춤 전공답게 ‘연결’이 남다르다. 엎어지면 코 닿을 곳에 스마트산업단지 현장이 있는 덕분에 현장 실습과 취업 연계가 여느 대학보다 수월하다. 조 교수는 “3학년 2학기에 창원에 있는 LG전자, SK네트웍스, 지멘스, 다쏘시스템코리아 등의 기업과 한국전기연구원(KERI)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닦고 이들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 덕분이었다.동물의 눈으로 보면 평생을 한곳에 머무르는 식물은 자칫 단조로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세계적인 식물생리학자이자 이 책의 저자인 스테파노 만쿠소는 ‘진정한 개척자’는 식물이라고 말한다. 지구상에서 식물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 ...
- [그래프뉴스] 전동킥보드, 사람 다니는 길에선 타면 안 돼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7개 지역의 지하철역 근처 대학가, 주택가 등 전동킥보드를 타는 사람이 많은 곳을 관찰했죠.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총 4시간 동안 같은 장소를 찾아가서 살펴봤어요. 그 결과, 전동킥보드를 이용한 1340명 중 851명이 인도로 다닌 것으로 나타났어요. 또 55명이 둘이 타 이용 수칙을 어겼어요.전동킥보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두리번거릴 시간 없고.”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딱지를 끌고 어디론가 들어갔습니다. 그곳은 온갖 도구가 정신없이 놓여 있는 실험실 같았습니다. “자, 이걸 좀 붙잡아 줘. 다들 내 실험 도와주기 싫다고 도망가 버렸어.”어느새 딱지의 손에는 이상한 방망이가 들려있었습니다. 딱지는 시키는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곡에 2:2:1이라는 비율을 적용할 때 어떤 부분에는 4초, 4초, 2초로 간격을 잡고 다른 곳은 3초, 3초, 1.5초로 잡은 이유를 묻는다면, 자의적 선택이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김 작곡가는 프랙털을 활용해 작곡했지만, 음악을 들었을 때 수가 연상되지 않는 것을 이 곡의 묘미로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파짓! 파짓!’ 정전기로 번개를 만들어 보자!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전하, 얻으면 음전하를 띠죠. 대전을 통해 형성된 전하가 한곳에 머무르는 ‘멈춘 전기’가 바로 정전기입니다. 모직 니트와 풍선으로 예를 들어 볼까요. 동물의 털로 만든 니트는 풍선보다 더 전자를 잃기 쉽습니다. 따라서 풍선에 니트를 계속 마찰시키다 보면, 니트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사람은 가만히 있을 때에도 작은 발광다이오드(LED) 12개를 켤 수 있는 120W가량의 열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호흡 등으로 운동에너지도 나오죠. 이런 에너지 상당수는 그냥 버려지는데, 이를 모아 웨어러블 장비를 구동하는 시대가 올 겁니다.”지난해 12월 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변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