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귓바퀴
귀퉁이
모퉁이
귀구멍
귓구멍
거북선
d라이브러리
"
귀
"(으)로 총 1,55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거대구조에 이르기까지. 나선은 결정의 성장과정에도 DNA의 분자구조에도 나타난다. 사람
귀
속에 나선 모양 달팽이관이 있듯이 동식물의 세계에도 여러가지 형태로 나선은 등장한다. 자연계 최대의 나선모양은 나선은하다.수학적으로 나선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아르키메데스 나선에서는 인접한 ... ...
'우주 행위예술' 환상의 개기일식 3분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는 지난 11월3일(한국시간) 칠레북부 뿌뜨레에서 일어난 개기일식을 관측하기 위해 원정팀을 파견했다. 이 관측결과를 가지고 태양 표면층의 자기장분 ... 끝나버리는 아쉬움과 세상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없다는 안타까움을 가슴에 묻어둔 채
귀
국길에 올라야만 했다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머리 속에 기억된다. 몇몇 체스명인들이 눈가리개를 한 채 상대가 어떤 수를 두었는가를
귀
로 듣는 것만으로도 경기를 해나간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지 오래다. 네덜란드의 체스 챔피언이기도 했던 아드리안 디그루트(Adrian DeGroot)는 1940년대에 이미 많은 체스 명인들이 경기 중인 체스판을 단 ... ...
휴대용 전화도 전자파 피해 파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일부분에 집중하는 열점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걱정거리다. 즉 휴대전화는 직접
귀
에 대고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라는 것이다. 전자파의 강도는 거리에 반비례하고 발생원에서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그 영향이 적어진다.노벨상 후보가 되기도 한 전자파의 권위자 뉴욕주립대 R. 베커 교수는 전자파의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일부를 절단해서 훔쳐가기도 했다. 한사람은 머리를, 다른 사람은 손발을, 또다른 사람은
귀
와 코를 기념품으로 잘라갔다. 심지어는 피부로 담배쌈지를 만들기까지 했다. 태즈메이니아 최후의 사람은 1876년에 죽은 늙은 여인네이다. 최후의 남자처럼 사후에 시신이 찢기는 것이 두려웠기 때문에 ... ...
(4) 지구 떠나 새 행성을 살 곳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사막에서는 예전의 초원거주자들과 비슷한 모습을 한 인간들이 진화하게 된다. 이들의
귀
는 박쥐와 같이 쫑긋하다. 이는 열을 방사하기 위한 것이며 팔 다리가 길게 발달돼 있다. 이들의 조상은 온대숲에 살고 있었는데, 수렵진화의 결과 초원거주자와 비슷하게 된 것이다.이들의 눈은 편광(偏光 ... ...
1 아날로그·디지털전쟁, 누가 승자일까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인간이 받아들이는 정보는 모두 아날로그정보라는 주장이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보고
귀
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입으로 맛보는 것은 모두 연속성이 있는 아날로그정보다. 두뇌의 사고기능이 디지털인지 아날로그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디지털통신망을 타고 온 전화도 인간에게 전달되려면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바꾸거나 할 수 있다. 사람의
귀
에도 그런 근육이 10개 이상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귀
를 잘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은 적다.④ 이: 사람은 불을 발견하여 음식을 요리하게 되었으므로 이와 턱이 퇴화하는 경향이 있다.특히 송곳니와 사랑니에서 퇴화 경향이 두드러진다. 사람의 송곳니는 원숭이와는 달리 ... ...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A에서 평범하게 진행하면 판매는 실패하게 된다.지금 소비자는 세일즈맨의 설득에
귀
를 기울이고 차츰 필요성을 인식해 주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때 콘트롤면은 점 A에서 시작해서 S의 길을 따라 진행한다. 이때 곡면상에서는 S의 길이 아래 곡면으로 진행하면 얼핏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그러나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칠월칠석이 안돼서인지 서로 접근한 느낌은 없다. 알타이르 바로 밑에는 어둡고 작지만
귀
여운 별자리가 하나 있는데 돌고래자리가 바로 그것이다. 신기한 것은 쌍안경으로 이 별자리를 보면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이 모두 두개로 보인다. 광학적 이중성들이다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