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띠그래프는 띠(=세로에 비해 가로의 길이가 긴 사각형 또는 가로에 비해 세로의 길이가 긴 사각형)에 범주 구성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띠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표에 비해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그래프에 비해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알아보기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작은 돌풍을 만든다. 이 바람을 컴퓨터가 계산해 내자, 모니터에 바람이 다니는 투명한 길이 그려지기 시작했다.보는 게 대세다. 라디오도 ‘보이는 라디오’ 코너를 운영하고 텔레비전은 3차원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가상현실(VR)이 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 ‘페이스북’ 등 SNS 역시 사진과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않은 건물이 많기 때문이다. 서울에만 66만 채에 이른다. ‘신속한 경보’만이 살 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지진을 예보하고 조기경보한다. 미국지질조사국이 개발한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셰이크얼러트’는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GPS 이용해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해서 부채살 모양의 주름이 동공 경계에서 확장되는 형태로 겹겹이 있다. 홍채의 반지름 길이를 더 넓게 확장시켜주는 주름이다. 이런 주름은 사람에 따라 팬 위치, 깊이가 제각각이다. 자연히 그에 따라 생기는 홍채의 명암 패턴도 사람마다 다르다. 패턴은 보통 한두 살 때 만들어져서 평생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파악하는 데 중요한 또 다른 뼈는 쇄골이다. 쇄골은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생겼다. 길이, 두께는 물론 뼈가 휘어진 정도나 근육이 닿는 지점의 울퉁불퉁한 정도 등이 제각각이다. 이 사실은 우연한 기회에 법의인류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됐다. 10여 년 전 미군 부대의 한 창고에서 엑스선 필름이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작용하는 경로가 다르다. 길이 없었던 들판에 여러 사람이 같은 경로로 지나다니면 길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경전달물질이 같은 경로를 여러 번 반복해 지나가면 뇌가 거기에 적응한다. 즉, 벼락치기를 자주 할수록 도파민과 아드레날린이 작용하는 경로가 굳어져 습관이 된다. 결국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어떤 일에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을 따르는 것을 뜻해요. 예를 들어 우리가 1cm의 길이를 정해 놓고 그 기준을 따르듯이 말이에요. 블록에도 이런 규칙이 적용돼요. 서로 다른 블록끼리 쉽게 끼울 수 있도록 요철의 모양과 크기에 기준을 만들어 두었거든요.레고를 생각하면 쉬워요. 레고의 윗면에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어야 전기회로가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지요. 특히 LED 전구의 경우, 두 다리의 길이를 다르게 만드는 것으로 양극을 구분해 놓았어요. 긴 다리는 (+)극에, 짧은 다리는 (-)극에 연결해야 LED가 빛을 낼 수 있답니다.소금물을 넣은 밀가루 반죽과 마찬가지로 컬러점토 역시 전기가 통해요. 컬러점토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은 좌우 폭이 13.6cm로 서양 노인(13.4cm)보다 넓었다. 반면 앞뒤 길이는 16.0cm로 서양인(17.3cm)보다 짧았다. 상하 높이도 한국 노인은 11.5cm, 서양 노인은 12.4cm로 0.9cm의 차이를 보였다.김 교수는 “그동안 한국 노인의 표준 뇌가 없어 정확한 연구결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면에 멈춰 무언가를 찾기 시작했다. 두 연구원이 겨우 발견한 것은 손바닥 한 뼘 정도 길이의 측정계였다.지질연은 서도와 동도에 각각 6개씩 총 12개 지점에 토층의 침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계를 설치해 3년째 관찰하고 있다. 흙이 유실되는 정도를 보면 독도의 토층이 어느 정도 속도로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