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자원을 연료로 바꾸는 기술, 이 연료를 수급하는 기술 등이 이미 연구 중에 있다. 중력
덕분
에 발사체가 심우주 게이트웨이와 달 표면의 우주기지 사이를 오가는 데 드는 연료도 적다. 한국 연구진도 달 기지 건설에 동참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달 우주기지 내 발사체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먼 곳을 갈 때 비행기는 빠르고 편리해요. 비행기
덕분
에 우리는 먼 나라를 쉽게 오갈 수 있지요.그렇다면 최초로 비행기를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라이트 형제’로 유명한 ‘윌버 라이트’와 ‘오빌 라이트’랍니다.20세기 초까지 사람이 하늘을 날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5년이나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매년 탐사를 열심히 해 준 대원들
덕분
”이라고 말했어요. 우리나라에 사는 매미 12종 탐사, 미션 성공!올해 수료식에 참가한 모든 대원들은 수료증과 함께 특별한 선물을 받았어요. 배윤혁 연구원과 허지만 어벤저스가 전국을 누비며 찾은 매미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게임이나 SNS 등 우리가 쓰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없이 많아요. 이는 모두 프로그래머들
덕분
이지요.그렇다면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누구일까요? 바로 영국의 수학자 ‘에이다 러브레이스’랍니다.에이다는 1815년 12월 10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어요. 당시 여성은 대학교에 입학할 수 없어서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내는 조명이 계속 개발되면서 현재는 형광등과 LED 등 다양한 조명들이 쓰이고 있어요. 이
덕분
에 사람들은 밤에도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됐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어요. 조명 빛이 대기 중의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면서 밤하늘이 밝아진 거예요.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천체를 관측하기가 점점 더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마카롱이 맛있어 보였지만 모형이라 먹을 수 없어서 아쉬웠어요. 헬로키티가 초대해 준
덕분
에 친구와 남산도 처음 가 보고, ‘쎈토이 뮤지엄’과 남산타워 전망대에서도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폴란드 친구는 한국 방문 중 헬로키티 생일에 참가한 것이 가장 재미있었다고 해요. 생일파티에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탐사하게 된 계기를 소개했어요. “서호주 탐사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던 것도 호기심
덕분
이었어요. 7년 전, 과학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초기 지구에 산소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해졌지요. 그래서 이 분야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인 NASA의 마틴 반 크라네동크 박사에게 무작정 메일을 보냈어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포함돼 있지요. 범죄현장에서 범인이 남긴 피로 범인을 잡을 수 있는 것도 혈액 속 DNA
덕분
이에요. 과학자들은 1μL(100만분의 1L)의 피에서도 DNA를 추출해 범인을 알아낸답니다. “딱딱한 공간은 뼈, 빨간 생명은 피. 피를 만드는 곳은 골수! 수수께끼의 정답은 골수야!”“얘들아, 이리로 와 봐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라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라듐의 분리 과정에 대해 특허를 내지 않았어요. 이
덕분
에 방사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답니다 ... ...
Part 2. 부리, 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남조류 등을 걸러 먹는답니다. 홍학이 이렇게 먹이를 먹을 수 있는 건 독특한 부리
덕분
이에요. 부리 가장자리를 따라 ‘라멜라’라는 촘촘한 톱니 모양의 구조가 무수하게 많이 나 있거든요. 이 때문에 물은 빠져나가고 먹이만 걸러진답니다. 꼬마홍학은 라멜라가 매우 촘촘해서 0.5mm 미만의 생물도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