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야
평원
벌
플레
들판
들녘
벌판
d라이브러리
"
들
"(으)로 총 3,2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할 수 있다.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전국에 설치된 관측소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가
들
어와 지진이 발생했을 때 12초 만에 지진 경보를 알릴 수 있다”고 밝혔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국가정보센터(NDC)로 지정돼 지진파와 음파를 관측해 지진 감지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의 핵 실험을 감시하는 ... ...
화성의 '웃는 얼굴' 크레이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얼마 전 화성의 ‘웃는 얼굴’ 지형 사진이 공개되자 누리꾼
들
의 댓글이 쏟아졌다. “저게 무슨 웃는 얼굴이냐”며 완전 억지라는 식의 반응이 많았다. 하지만 ... 퇴적물이 상당히 많이 쌓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고 협곡도 여럿 만날 수 있다. 이 협곡
들
은 물이 흘렀던 흔적으로 추정된다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감시하고 흑점 관측에 이용되고 있다. 망원경에 투영판을 달아 15cm의 태양의 상을 만
들
어 스케치하는 방법으로 관측한다. 우주환경 예보센터를 향해!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은 커다란 꿈을 가지고 있어요. 그꿈은 ‘만약 매일 같이 태양활동과 지구근접 우주 환경을 지켜보고, 뉴스에서 날씨를 ... ...
봄처녀 오시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진달래꽃을 볼 수 있다고 하네요. 지난해 보다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빨라졌지요.과학자
들
은 지구온난화 때문에 개나리와 진달래가 피는 시기가 갈수록 빨라진다고 말해요. 봄꽃을 보는 것은 좋지만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환경이나 빠진다고 해서 걱정이에요. 봄꽃을 보면서 우리 모두 지구의 ... ...
우리가 몰랐던 거북선의 참모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위력이 워낙 대단하다 보니 전투에서 거북선이 모든 역할을 다 했다고 알고 있는 사람
들
이 많습니다. 하지만 거북선은 돌격선의 역할에 충실했을 뿐 조선 수군의 주무기는 판옥선이었습니다. 튼튼하고 화포를 쏘기도 좋았으니까요. 하지만 덩치가 너무 커서 속도가 느렸는데 이 단점을 재빠른 ... ...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칭하며 이
들
입자, 예를
들
면 양성자와 중성자 또는 π중간자(+e, 0, -e의 전하를 갖는다)
들
은 모두 전하의 값만 다르고 질량을 비롯한 성질이 극히 비슷한 한 무리이다 대기권 외역(外域)에서 우주를 관측하는 망원경 구체적으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口徑) 24m의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질산섬유소)와 장뇌(樟腦)를 합쳐 만든다니트로셀룰로오스가 장뇌 속에 녹아
들
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주파수 스펙트럼의 시간적 변동을 기록하는 장치 자기녹음용 금속 원반에 짧은 시간(약 24s) 녹음하여 이것을 되풀이 재생하면서 원반의 회전에 따라 중심 주파수가 차츰 이동하는 ... ...
대보름의 불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우스꽝스러운 조형물을 ‘파야’라고하는데, 축제 기간 동안 4`~5층 건물 높이의 파야
들
의 가장행렬이 이어지다가 축제의 마지막 날에 모두 태우는 것이지요. 여러 나라의 불놀이 잘 보았나요? 나라마다 모습은 다르지만 불을 이용한 풍습으로 한 해의 소원을 빈다는 것은 공통된 점이지요. 불과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난자와 정자, 배아, 줄기세포…. 최근 아주 많이
들
어 본 말일 거예요.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말
들
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아 ... 걱정하는 사람
들
도 많고요.하지만 생명 탄생의 신비를 느껴 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
들
은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잊지 않을거라 믿어요 ... ...
PART3 인간을 노리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치료도 기존 시그니처(signature) 기반으로 진단하는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줄어
들
고 예방 중심으로 바뀔 것이다. 악성코드의 변형을 진단하고 알려지지 않은 새 악성코드를 유추해 내는 기술도 계속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모바일 악성코드에 대처하는 백신, 64비트 컴퓨터 환경에 대비한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