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d라이브러리
"
시각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밖에 없다. 지갑 속에서 전통천문학의 유산과 음양오행의 우주관을 찾아내는 그의
시각
이 예리하다.천문학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저자에게 김장을 언제 해야 할지, 점도 보는지 묻곤 한단다. 천문학을 기상학으로 오인하고 때로는 한국천문연구원을 점치는 곳으로 오해해 벌어지는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미국 우주인 페기 휫슨이 반갑게 맞아준다. 해치를 열고 인터뷰를 하는 장면을 우리
시각
으로 밤 12시 40분부터 새벽 1시까지 텔레비전 생중계로 볼 수 있다.떠들썩한 환영식이 끝나면, 이 씨는 바로 실험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그가 9박 10일 동안 ISS에 머무는 동안 수행해야할 과학실험은 모두 18가지.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 다양한 렌즈를 필요에 따라 안경에 장착유통기한 : 평생 사용 가능사용대상 :
시각
장애우와 일반인 모두 사용 가능주의사항 : 땅에 떨어뜨리면 깨질 수 있으니 조심▼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최근 환자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치유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림이 주목받고 있다.
시각
, 청각, 후각, 미각, 촉각 같은 자극이 인간의 감각기관에 ‘입력’되면 과거의 경험이나 현재의 심리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반응이 ‘출력’돼 나온다. 마찬가지로 어떤 대상을 바라본 뒤 그 자극을 그림으로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경험할 기회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 명이라도 미래에 대해 올바른
시각
을 갖게 도와줄 수 있다면 보람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박사는 주현 양을 사무실 잡무를 떠맡기는 인턴으로 생각하지 않고 팀의 일원으로서 핵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안목을 갖추도록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타인의 행동을 ‘비춰주는’ 신경세포이기 때문이다.그렇다면 거울 뉴런은 글자 그대로
시각
적 정보를 비추는 데만 관여할까. 일상생활에서 ‘거울’이란 말을 비유적으로 쓰듯 거울 뉴런 역시 넓은 의미에서 상대의 행동을 비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연구자들은 원숭이에게 땅콩이 담긴 접시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시력이 약하기 때문에 페로몬의 화학적 자극을 따라갈 뿐 암컷의 위치를 정확하게
시각
으로 파악할 순 없다. 수컷은 재빨리 가지를 기어오른다. 페로몬 냄새의 근원지가 어딘지 알았다는 듯이 곧장 돌진할 기세다. 그곳에는 망토도 두르지 않은 뚱뚱한 암컷이 망부석처럼 기다릴 테니까.이 모습을 본 ... ...
“파란색을 못 봐요~!” 딱정벌레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웨인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습성이 있는 붉은 밀가루딱정벌레의
시각
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다른 곤충들이 자외선을 포함해 파란색과 붉은색을 구별하는 데 비해, 이 딱정벌레는 파란색에 반응하지 않았어요. 연구팀은 딱정벌레의 눈에 파란색을 감지하는‘옵신’이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불리는 옵아트처럼 착시현상을 이용한 공연 ‘더 베스트 오브 이미지’는 환상적인
시각
적 자극을 선사했다. 자외선 방출하는 블랙라이트의 비밀빛이 물체에 부딪히면 반사되거나 굴절된다. 이런 경우 물체는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흡수한 에너지의 일부를 방출하기도 한다. 블랙라이트가 방출하는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우리가 별 생각 없이 지나치는 한국의 문화를 날카롭게 관찰하고 평가하는 외국인의
시각
이 신선하기 때문이다.“한국 남자들은 정이 많고 다 좋은데 결혼은 망설여져요. 회사 다니면 매일 밤늦게까지 일하니 얼굴보기도 힘들잖아요.”“혼자 밥 먹고 있는데 친구들이 와서 ‘왜 혼자 먹고 있냐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