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모듈 내부에서는 그야말로 시간이 철저히 정지된다.
외부
와 철저히 격리된 채 햇빛을 보지 못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먹고 마시고 쓰는 행동에 제약을 받는다. 또 성적(性的) 욕구를 해소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다.하지만 실제 화성 여행이 이뤄질 경우 가장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백혈구 같은 대식세포가
외부
의 적(항원)을 먹어치우는 초기방어 행위를 선천성 면역,
외부
의 적에 대항해 전문 요원(항체)이 나가서 싸우는 방식을 후천성 면역이라고 한다. 한동안 면역학자들은 다양한 항체의 매력에 이끌려 후천성 면역 연구에 집중했다. 그 덕분에 면역학 교재의 90%가 후천성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국립공원 입구에서 고속도로까지의 거리가 50km 정도밖에 안 되지만, 1980년대 초까지도
외부
에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로 오지다. 이 지역은 3억 6000만 년 전만 해도 바닷가였다. 바닷물이 들어차 모래와 자갈의 퇴적물이 쌓이고 사암과 역암 층이 형성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벙글벙글의 암석층을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채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안 이사는 “현재 무인자동화로 채소를 재배하고 자판기처럼
외부
에서 사람이 버튼을 눌러 채소를 수확하는 소형 식물공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SF의 한 장면이 현실이 되고 있는 셈이다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판이하게 다르다. 한번 기억된 정보는 변하지 않는다는 현미경 그룹과 기억된 정보는
외부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한다는 MRI 그룹의 주장이 팽팽한 대립구도를 이뤘다. 이번 학술대회에 참석한 양 진영의 뇌과학 석학들을 만나 각 진영의 커넥톰 연구방법과 입장을 들어봤다.뇌과학 연구의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자전달 효소를 이용해 금속산화물을 환원시킨다. 따라서 이런 미생물을 이용하면 굳이
외부
의 전달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무매개체) 미생물연료전지를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김 박사팀은 당시 금속염환원세균의 모델 미생물이던 쉬와넬라균(Shewanella)을 이용해 무매개체형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연구를 계속하던 타운스는 1951년 분자들로 구성된 시스템이
외부
로부터 전자기파를 흡수하면 들뜬 분자들이 흡수한 전자기파와 동일한 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된다. 여기엔 타운스가 잠깐 일했던 벨연구소에서의 경험이 크게 작용했다. 당시 벨연구소에서는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온라인 게임 ‘아바(AVA)’의 개발사 레드덕의 홍동균 실장은 “충돌 시스템은 유닛에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이것의 운동에너지를 계산해 유닛의 동작을 적절하게 생성해 내는 시스템”이라며 “과거에는 유닛이 총을 맞았을 때 맞는 부위에 관계없이 일정한 동작으로 쓰러졌지만 충돌 시스템을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같은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일까, 아니면 우리 몸이 지니고 있는 리듬일까.예를 들어
외부
와 차단된 건물 내부의 인공조명을 28시간 주기로 점멸할 경우 우리는 곧 하루가 28시간인 생활에 적응해 살아갈 것 같다. 24시간에서 4시간이 더해진다고 해서 별 차이는 없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과학자들은 ... ...
심층면접과 과학캠프 중점 대비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구성·운영한다. 이 위원회는 과학고 입학사정관들과 교장, 교사, 관련 분야
외부
전문가 등 15인 이내로 구성되며, 최종 합격자 선정을 비롯한 과학고 입학전형 전반을 관장하게 된다. 이와 별도로 과학고 입학사정관들은 과학고 입학사정관 전문 연수를 KAIST에서 받으며, 과학고 입학전형에 필요한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