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해상도 웹 카메라 ‘스트로베리-티니’과학동아 l2009년 06호
- 500만 화소 | 시야각 58° | 프레임 초당 30프레임(해상도 320×420 이하), 초당 15프레임(해상도 640×480 이상) | 기능 노출 보정, 자동 초점기능, 깜빡임 보정기능 | 홈페이지 포피플인터렉티브(www.peoplz.co.kr)500만 화소의 노트북용 웹 카메라(이하 웹캠)가 새로 나왔다. 지큐브(G-CUBE)에 ...
- 시료 표면 분석해 업그레이드된 신소재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최초로 도입해 이번 달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한다. 나노SIMS는 이온빔을 지름 50nm 이하의 한 초점으로 집중시킨다.카메라 화면에 픽셀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미지 해상도가 높아 어떤 물체를 찍었는지 정확히 알 수 있듯이, 기존 SIMS에 비해 나노SIMS는 50nm 정도의 미세한 불순물도 정확히 분석할 ...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만 유전자 찾았다!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수년 전 개발된 전장유전체연관분석법(Genome-Wide Association Study, 이하 GWAS)이라는 방법으로 유전자 후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최근 한국인을 대상으로 키뿐만 아니라 BMI , 혈압, 골강도 등 여러 특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자 후보를 처음으로 찾아 유전학 분야의 권위 있는 ... ...
- 차세대리더 모임 YEHS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맡은 선생님들은 연합동아리 ‘차세대 리더를 꿈꾸는 대한민국 공학도들의 모임’(YEHS, 이하 예스) 회원들이다. 예스는 Young Engineers Honor Society를 줄여 붙인 이름이다. 예스는 평소 과학실험을 자주 하지 못하는 농·어촌의 분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재미있는 과학실험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과학동아 l2009년 05호
- 금속성을 균일하게 갖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응용하기에 좋다.그래핀을 수십 나노미터 이하 크기의 리본 형태로 가공하면 반도체 성질을 갖는데, 이점을 활용하면 그래핀으로만 구성된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 있다. 아직까지 실리콘 기반 트랜지스터 성능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그래핀 트랜지스터 ...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과학동아 l2009년 05호
- 박사는 “높이 14.5m, 무게 340t 의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e, 이하 HVEM)이 해답”이라고 소개했다.원자도 구분 가능한 해상도전자현미경은 빛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과 달리 전자를 이용해 시료를 관찰한다. 전자총으로 시료에 전자이온빔을 쏴 튕겨져 나오는 2차 전자 신호로 ... ...
- 멤스 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실제로 가능할까. 박 교수는 ‘극소형 멤스 우주망원경’(MEMS Telescope for Extreme Lightning, 이하 MTEL)으로 번개를 추적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번개도 보통 번개가 아니다. 보통 번개보다 더 크고 강력한 ‘메가번개’다. 메가번개는 고층 대기에서 발생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뻗는 초대형 방전 현상이다. ...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서울대공원측이 동물의 야생본능을 깨우기 위해 도입한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이하 풍부화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그런데 작은 그물코 사이로 혀를 넣어 잎사귀를 꺼내먹는 일이 생각만큼 쉽지 않아 보인다. 안쓰러운 모습에 ‘먹기 쉽게 넓은 그릇에 주지 않고 왜 고생을 시킬까’란 생각이 ...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과학동아 l2009년 05호
- 목적 이외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식품에서 잔존량은 0.5% 이하이고 껌의 경우는 5% 이하여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약품에도 탤크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약품에 탤크를 넣은 이유는 원료들이 잘 분산되게 도와주고 알약을 만들 때 알약이 틀에 들러붙지 않게 해주기 때문이다.보통 약 제재를 ...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ABS는 브레이크가 바퀴를 잡았다 놓는 동작을 빠르게 되풀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상황에서도 핸들을 조정할 수 있다.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일을 막을 뿐 아니라 장애물을 피할 수 있어 사고를 크게 줄인다.ESC는 ABS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기술로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