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80년 만에 흑자전환, 핵융합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남은 단계를 정리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80년 만에 흑자전환, 핵융합Part1. 2mm 캡슐이 만든 커다란 도약↳[인포그래픽] 순에너지 생산에 성공한 국립점화시설(NIF)↳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 Part2.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것”이라 설명했다. 핵융합이 ‘실현 가능한 에너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1958년 스위스에서 열린 핵융합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국제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에너지원으로서 핵융합 연구가 시작된 이후 약 64년 만의 성과다. 그랜홈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NIF의 이번 성과가 미국 안보를 공고히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연구원은 AI의 비디오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비디오 튜링테스트(VTT)’를 2022년 11월 공개했습니다. 이 튜링테스트는 AI에게 영상을 보여주고 AI의 반응을 감정 인식, 지식 기반 추론, 배경 정보 기억, 대화 맥락 이해, 행동 의도 추론 등 5가지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가령 버스 안에서 고백을 ...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많습니다. 보통 우리가 쓰는 구리 1m3안에 있는 전위의 길이를 모두 더하면 1광년(9.46×1012km)의 거리보다 깁니다. 원자보다 전위에 주목하는 이유 결정 안의 전위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첫 번째, 전위는 특정한 면 안에서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전위가 움직이면 원자들이 서로 이웃을 바꾸는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층 번호판을 확인했다.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멈춰 있었다. 계단을 구르듯 내려갔다. 1층에서 남자가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다.“아저씨!”큰 소리로 외쳤다.“이제 알았어요. 채티는 나죠?”층계에 기대 헐떡이며 남자를 바라봤다. 아파트 현관문을 나서기 직전, 남자가 고개를 들었다. 그의 얼굴에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큰 차이가 없었지만, 햇빛이 약한 겨울에는 WCM 필름을 사용한 식물이 63일간 높이는 1.2배, 무게는 1.4배 더 성장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쇼지 스나오 교수는 “필름을 재설계해서 자외선을 녹색이나 노란색 등 다른 색으로 자유롭게 제어한다면, 식물에 따라 광합성에 최적화된 빛을 만들어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새로운 별의 탄생2023년 새해가 밝았어요! 우주에도 새롭게 출발하는 천체가 있습니다. 별의 일생은 너무나 길어서 우리가 볼 때는 항상 같은 모습을 하고 있 ...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2월 1일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 [광고]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안녕~! 나는 장화신은 고양이 푸스! 9개의 목숨을 지녀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던 나였건만…, 어느새 목숨이 단 하나밖에 남지 않은 거 있지? 이제 히어로의 삶 ... 인 2매)을 10분께 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팝콘플래닛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당첨 발표 1월 9일(월) 오후 홈페이지 공지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022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가 추천하는 책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허 교수를 수학자의 길로 인내한 입니다. 1970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헤 ... 바라며 1월호를 만들었습니다. 부디 편집팀의 바람이 통하길 기대하며, 독자 여러분이 1월호를 인상 깊게 읽길 바랍니다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분의 1 안에 든 모두에게 주기 때문에 부담 없이 공부할 수 있었어요. 어떨 때는 6문제 중 1문제를 완전히 틀려도 금메달을 받을 수 있거든요. 목표를 만점을 받는데 두지 않고 어려운 문제를 계속 풀면서 수학 실력을 쌓는 것으로 뒸더니 결과도 좋았어요. 또 이 대회에 나오는 문제들은 논리력을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