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뉴스
"
용량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총괄책임자로서 빅데이터센터 업무 전반을 이끌어가고 있다. 빅데이터센터의 목표는 대
용량
처리 연구 인프라 구축,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산업 및 데이터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빅데이터 산업체를 지원하고 있다. ...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그래핀으로 전자기기를 만들 때 인공적인 결함을 만들면 전자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성능이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임스 투어 미국 라이스대 재료과학 및 나노공학과 교수팀은 인공적으로 무늬를 새긴 그래핀 박막 축전기의 성능이 일반 탄소 축전기보다 좋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환경에서 자라기 힘들기 때문에 그 동안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 다. 하지만 최근 대
용량
DNA 해독 장비가 개발되면서 지금껏 접근하지 못했던 미생물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메타지노믹스라고 부른다. 인간은 수정란 단계에서 하나의 세포로 존재한다. 하지만 분열이 계속되어 태어날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 데이터를 대
용량
으로 저장할 수 있고 작동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까지 고루 갖춰 차세대 반도체 및 메모리 소자의 핵심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은 티탄산바륨을 이용해 두께가 3nm(나노미터)에 불과한 강유전체 박막을 ... ...
UHD TV로 생방송 가능해졌다
2014.11.19
‘H.264/AVC’보다 데이터 압축 효율이 2배 정도 우수해 같은 수준의 영상 화질을 데이터
용량
은 절반으로 줄여 전송할 수 있다. ETRI는 이번에 개발한 인코더를 신호 입력에서부터 송출까지 실험방송 규격에 맞춰 실험한 결과 48시간 동안 안정적인 고화질 UHD 생방송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개발한 소재로 리튬이온전지 음극을 만들었다. 그 결과 기존 티타늄산화물의 음극보다
용량
이 최대 7배 이상 늘었다. 이진우 교수는 “메조기공은 개미집처럼 서로 연결돼 있는데, 이곳을 통해 전해질과 이온이 빠르게 전달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 10월 2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
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
용량
과 출력이 크고 수명까지 긴 소재를 간단히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고
용량
에너지 저장 기술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과학 분야의 권위지 ‘에너지와 환경과학’ 10월 8일자에 실렸다 ... ...
테니스 혁신도 독일 월드컵 우승도 ‘빅데이터’ 덕분
2014.10.28
2-0으로 완승을 거뒀다. 기존 기술로 이런 분석을 하려면 몇 시간도 부족하다. SAP는 대
용량
자료를 순식간에 분석할 수 있는 신기술로 이런 서비스를 개발했다. 여자테니스협회(WTA)는 선수 훈련 때 이 기술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관객용 앱처럼 서브의 방향과 속도 리턴포인트 등을 확인할 수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존재다. 즉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의 6% 정도는 장내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
용량
항생제 복용으로 장내미생물 숫자를 억제할 경우 그 에너지가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호르몬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생체분자를 만들어내 숙주의 생리반응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 ...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지금보다 수백배 더 저장
용량
이 큰 차세대 3차원 반도체나 고효율 광전자 소자 등을 개발할 수 있어 국내 전자기기 산업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동기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은 매우 정밀한 나선형 나노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