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뉴스
"
이상
"(으)로 총 18,146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구현 플라즈마 기술, 산업폐수 극미량 오염물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수중 플라즈마로 처리한 결과 잔류의약물질은 비검출 수준으로 감소하고 농약류는 87%
이상
제거됐다. 수질 오염에 민감한 물고기인 '제브라 피시'를 활용해 독성을 평가하자 플라즈마 처리를 한 환경에서 제브라 피시 배아의 독성이 감소하고 부화율이 증가했다. 홍용철 책임연구원은 "화학물질을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고 했다. 현재까지 중력파로 독일 연구팀이 발견한 블랙홀처럼 태양질량의 1000배
이상
블랙홀은 발견된 적 없다. 이 책임연구원은 "별의 속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별들의 궤도를 알 수 있을 때까지 수십년간 추적 관찰해야 하는 것이 단점이다"라면서 "중력파 관측과 함께 다양한 질량의 블랙홀을 ... ...
지구 대륙, 알려진 것보다 10억년 앞서 형성됐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을 학습시켰다. 학습된 AI로 잭힐스 지역의 다른 지르콘 샘플 971개를 분석한 결과 3분의 1
이상
이 S형으로 분석됐다. 그중에는 최대 42억 년 전에 형성된 S형 지르콘도 있었다. 연구팀은 "두 대륙이 존재하고 한 대륙이 다른 쪽 아래로 밀려 들어가 섭입됐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판 구조론의 시작 ... ...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리슨 수석 연구원은 "우리가 우주에서 유일한 생명체 거주 행성이라면 정말
이상
할 것"이라며 "생명의 조건과 생명의 재료는 어디에나 있다"고 밝혔다. ... ...
탄소중립 위한 'CCUS 기술' 걸림돌 해결하는 나노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기존 촉매는 3.4볼트(V) 전압에서 12시간 동안 성능을 유지했지만 새로운 촉매는 50시간
이상
성능을 유지했다. 새로운 촉매는 적은 촉매량으로도 이산화탄소 전환을 장기간 수행할 수 있어 촉매 비용을 절감하고 교체 주기를 늘려 일산화탄소 생산비용을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석유화학 ... ...
"화성 다녀오면 15년 늙어"…바이오칩 우주에 보내 노화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우주에 있는 바이오칩에서 모두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발생하는 등 같은
이상
증세가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해 논문을 작성했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현재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출판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 김 교수는 티슈 칩스 인 스페이스 3차 연구에도 도전할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나비의 날갯짓이 토네이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나비효과. 인간의 활동은 지구 온도 상승,
이상
기후를 거쳐 지진이라는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됐습니다. 오늘 우리의 작은 행동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생각이 많아집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7월호, 공포의 나비효과 기후위기가 땅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
2024.07.13
있었는데 바로 이 성격 테스트는 가짜였다는 것이다. 실제 성격과 상관 없이 랜덤하게
이상
주의자라거나 의지가 강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주었을 때 사람들은 이게 실제 자신의 특성인지 아닌지와 상관 없이 자신의 것이라고 들은 특징이 더 중요하고 귀하다고 반응한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치명적인 곰팡이 치료하는 '개구리 사우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500종의 양서류 개체수를 크게 줄였다는 2019년 연구결과도 있다. 연구팀은 곰팡이가 28°C
이상
의 온도에 견디지 못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개구리는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기 어려운 변온동물이라 특히 겨울철에 곰팡이를 막을 수 있는 온도까지 체온을 올리기 힘들다. 연구팀은 햇볕에 따뜻하게 ... ...
中 100km 입자가속기 구축계획,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91km 둘레의 '미래원형가속기(FCC)'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FCC는 LHC보다 길이가 3배
이상
길 뿐 아니라 최대 출력도 7배 높아 지금까지 확인하지 못한 새로운 물리 현상을 발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은 입자가속기 연구의 최전선에 있는 CERN보다 더 빨리 더 크게 더 비용 효율적으로 초대형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