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덮개
커버
표시
책표지
뚜껑
간판
사인
뉴스
"
표지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
로 읽는 과학]'우주의 23%'암흑물질의 실마리를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1290m 깊이 암반 아래 위치한 그란사소 이탈리아국립핵물리연구소(INFN Gran Sasso)의 모습을
표지
로 실었다. 연구소에 설치된 회색 빛깔의 ‘제논1T 암흑물질 검출기’의 모습이 보인다. 제논1T 암흑물질 검출기는 2014년 가동을 시작해 ‘유령물질’이란 별칭을 가진 암흑물질을 찾는 프로젝트에 쓰이고 ... ...
'옆에서 보면 깜깜이' 특정 각도에서만 보이는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노준석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특정 편광각도에서만 반응하는 보안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포스텍 제공 빛의 광학적 특성인 편광 ... 9일자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터리얼스’ 뒷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 포스텍 제공 ... ...
[
표지
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사이언스는 19일 우주 머나먼 곳에 있는 거대한 돌덩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
에 실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이 찍은 소행성 ‘162173 류구’의 모습이다. 류구는 지름이 1㎞인 팽이 모양 소행성이다. 지구로부터 약 3억 ㎞ 떨어져 있다. 과학자들은 류구가 원시 소행성 형태여서 태양계 초기의 ... ...
[
표지
로 읽는 과학] 죽은 뇌세포를 되살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돼지의 뇌 일부 기능을 6시간 가량 다시 살리는데 성공한 것을 '뇌 모래시계'에 비유해
표지
로 실었다.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의 뇌는 무척이나 예민해서 조금이라도 산소가 공급되지 않거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세포가 괴사해 손쓸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신경세포는 피부나 근육세포와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살아 있는 쥐를 마취시키고 챔버에 넣은 뒤 미리 형광으로
표지
한 물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할 수 있다. 권 책임연구원은 "이 물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하면 세포에서 분자 단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 ...
[
표지
로 읽는 과학]인간 몸은 우주에서 어떤 변화를 겪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그의 일란성 쌍둥이 마크 캘리의 모습을 묘사한 일러스트를 12일자
표지
로 실었다.
표지
는 우주복을 입은 스콧 캘리와 우주복을 입지 않은 마크 캘리가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그렸다. 마주 본 형제 사이 우주로 향하는 로켓과 상공 400km에서 지구 주위를 도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모습도 ... ...
[
표지
로 읽는 과학] 아시아에서 나온 새로운 인류의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9.04.13
추정되는 호모 에렉투스보다 먼저 아프리카를 떠나온 인류종일 수도 있다. 네이처는
표지
에 ‘아시아 밖으로’라는 제목을 달며 아시아에서 나온 이 화석이 인류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음을 시사했다 ... ...
[
표지
로 읽는 과학] 옥수수 꽃가루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탄생한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5일 옥수수 수꽃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
에 실었다.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브래드 넴스 박사후연구원과 버지니아 월봇 교수팀은 옥수수 수꽃의 꽃밥을 관찰해 화분모세포가 꽃가루(화분)가 되기 위해 감수분열을 시작하는 순간, 세포 단위에서 얼마나 ... ...
[
표지
로 읽는 과학]순항하던 소행성 베누 탐사, 예상과 다른 구성성분에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19.04.06
중요하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4일 오시리스-렉스가 찍은 소행성 베누의 모습을
표지
로 실었다. 오시리스-렉스의 미션은 베누 표면의 샘플을 수집하는 것이다. 3~5초동안 베누 표면에 질소 가스를 순간적으로 분사해 표토를 떼어내 채취한다. 이를 통해 베누의 밀도를 알아내겠다는 것이다. 또 ... ...
은 나노입자로 만든 태양전지의 효율 높이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끌어올렸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 응용재료 및 계면' 3일자
표지
논문으로 실었다. 은은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이고 빛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이런 장점을 살려 학계에서는 최근 은을 광흡수체로 사용하는 태양전지를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