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수학동아 l201207
- 냈다.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이 여우원숭이들이 마다가스카 곳곳의 환경에 적응하며 100여 종으로 진화했다는 것도 밝혀 냈다.영화 에서 여우원숭이를 잡아먹는 포악한 동물로 나온 ‘포사’는 발톱이나 수염 등이 고양이과 동물을 닮았다. 하지만 포사는 호랑이, 사자, 고양이가 속해 ...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과학동아 l201207
- 사랑은 실로 번갯불에 콩 구워먹는 것만 같아서 둘 사이가 무려 10펨토 초(1펨토 초는 100조 분의 1초)만에 멀어집니다. 둘 사이가 멀어진 거리는 0.002nm. 그런데 0.002nm라는 미세한 변화를 어떻게 촬영하죠? 탄소나노튜브가 자라나는 첫 번째 씬을 촬영할 때 사용한 투과전자현미경의 해상도는 최대 1nm ...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207
- c) 100~500m 에서는 15, 600m 에서는 14, 700~800m 에서는 13, 900m 에서는 12, 1000m 에서는 11]거리(m)÷100×바람속도(mph)/거리에 따른 상수(c)=수정해야할 각도(분)이 공식은 바람의 영향을 고려해 크리크를 조절하기 위해 저격수들이 사용하는 간단한 공식이다. 위 공식을 계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과학동아 l201207
- 미치는 영향이 작아 당뇨병을 일으킬 위험이 낮다는 것이다. 실제 포도당의 혈당지수를 100으로 했을 때 과당은 19에 불과하다. 설탕은 65이므로 과당이 설탕의 30% 수준이다.그러나 과당은 지나치게 섭취할 경우 포도당보다 나쁜 건 물론 그 해악이 에탄올에 버금간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우리 ...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과학동아 l201207
- 그래서 지구와 금성, 태양이 일직선으로 존재하기란 굉장히 어렵다. 이것이 금성일식이 100년에 한 번 일어날 정도로 드문 현상인 이유다. (…중략…) 망원경으로 사물을 관측할 때는 뷰파인더로 먼저 대상을 찾고 주망원경으로 자세히 관측하는 식이다. 하지만 태양을 찾을 때는 뷰파인더로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07
- 4.2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알파 센타우리 별이다. 이 거리를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100만 분의 1 비율로 축소해보자. 그러면 태양은 지름 14cm의 구가 되고 명왕성까지의 거리는 약 500m가 된다. 알파 센타우리 별까지의 거리는 무려 4000km가 된다. 무수히 많은 별로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과학동아 l201207
- 4호기(100만kW), 신월성 1호기(100만kW) 등 세 곳의 원자력발전기와 보령 1, 2호기 화력발전기(100만kW)가 고장과 화재로 멈췄다. 이들의 전력생산량은 360만kW에 달한다. 현재 전국의 전력공급량은 지난해 5월에 비해 9% 정도 줄어든 6341만kW다. 하지만 전력소비량은 지난해보다 173만kW나 늘어났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207
- 네안데르탈인을 털이 많고 피부가 검은 모습으로 그리고 있었다.하지만 이는 유럽에서 100여 년에 퍼졌던 잘못된 상식이다. 네안데르탈인은 중위도인 유럽에서 진화했고, 일부는 시베리아까지 퍼져 살았다. 이 지역은 오늘날 흰 피부를 지닌 사람들이 산다. 적도 부근보다 햇빛이 강하지 않아 멜라닌 ...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과학동아 l201207
- 인쇄’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4도 인쇄가 끝나도 그 두께는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이하다. 종이에 잉크를 칠한 것이 공정의 전부이기 때문에 무게도 가볍다. 이런 성질 때문에 외부에서는 유기물 태양전지를 가방이나 옷에 붙여 외부에서도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디자인을 ...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과학동아 l201207
- 정보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은 금성일식을 직접 관측하고 썼다. 어쩌면 우리 생의 마지막 금성일식일지도 모르는 지난 금성일식을 동아리 친구들과 함께 관측했다. 중요한 것은 이를 기사로 썼다는 점이다.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