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22년 11월 26일 3200년 만에 발굴! 투탕카멘의 무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1922년 이집트의 파라오 투탕카멘의 무덤이 약 3200년 만에 세상에 공개됐습니다. 투탕카멘은 기원전 1332년 9살에 이집트 왕이 된 뒤 18살에 사망했어요. 그동안 아무도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영국의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가 1922년 11월 4일 이 무덤을 발견했지요. 다른 왕들의 무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SEASON4] 학원 강사 ‘전서르 스따강사리우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내년엔 진짜 해외 여행 가야지!”썰렁홈즈의 말에 둘은 즐거운 여행을 위해 영어 학원을 다니기로 결심하고 집을 나서는데…. 이라는 큰 현수막이 걸린 학원에 들어서던 두 사람은 건장한 체격의 ‘전서르 스따강사리우스’의 엄청난 포스에 압도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는야 디지털 세상의 문지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무엇이 거짓인지 판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디지털 세상에서 문지기가 되는 방법 과학마녀 일리가 알려 줌! 우리 모두 디지털 문지기!혹시 소셜미디어에서 본 글이나 사진 등의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한 경험이 있나요? 디지털 세상 속에는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가 많지만, 나와 주변 ... ...
- 한눈에 보는 STEAM 교과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
- [특집] 실험으로 직접 보인 양자 세계의 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그 어떤 것도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많은 과학자는 얽힘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의 논리가 틀렸다고 주장했어요. 대신 두 공을 상자에서 꺼내기 전에 결과가 정해지도록 하는 ‘숨은 변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과 뒷면이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누리호 개발 연구원 특별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핸드폰 끄고 일주일 정도 쉬고 싶어요. 요즘 걸려오는 전화가 너무 많거든요. 우주과학자를 꿈꾸는 어린이들에게 책을 추천해 주신다면?조 우주와 별에 관심 있으면, 칼 세이건의 를 추천해요. 저는 살면서 다섯 번은 읽은 것 같아요.고 최근에 제가 우주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조광래 ... ...
- [숫자 뉴스] 지하 1000m 땅속에서 우주의 비밀을 찾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꼭대기로부터 1000m 아래에 거대한 실험실이 지어졌어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초과학연구원이 지은 ‘예미랩’이에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의 높이가 555m인데, 이를 2개 쌓아둔 것과 비슷한 깊이에 예미랩이 생긴 것이지요. 약 3000m2 넓이의 예미랩은 우주를 ... ...
- [냠냠! 어수잼] 수많은 지식이 한곳에! 지식 나무 ‘백과사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과일’로, 외계인과 우주선은 ‘우주’로 분류할 수 있지요. 백과사전 역시 자연과학, 문화, 스포츠 등의 기준에 따라 같은 성질을 가진 지식끼리 분류해요. 이렇게 분류한 지식을 ‘가나다’ 순서로 배열하거나 동물, 식물, 음식 등 주제별로 모아놓지요 ... ...
- [꿀꺽! 수학 한 입] 이건 몰랐어! 동화 속 이야기 2. 피노키오는 거짓말을 몇번했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만큼 길어진다면 움직이는 게 매우 어려웠을 거예요. 2014년 영국 레스터 대학교 학제과학센터의 스테판 르웰린 박사는 ‘피노키오는 최대 몇 번까지 거짓말할 수 있었을까?’라는 주제의 연구 내용을 발표했어요. 르웰린 박사의 계산에 따르면 피노키오의 머리는 약 4.18kg, 코는 약 6g의 무게였어요. ... ...
- [특집] 어린이도 완전 정복! 2022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준 사람들’에게 수여합니다. 이번 특집 기사에서는 올해 노벨 과학상 분야인 생리의학, 물리학, 화학상 수상자를 살펴보겠습니다. 인류의 먼 친척인 네안데르탈인의 화석 연구부터 알쏭달쏭 양자역학, 그리고 원하는 화학 물질을 만드는 클릭화학까지. 어린이도 이해하는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