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늘어나고 있다. 2003년 MIT의 강의로 시작한 것이 올해는 세계 170여 개 팀이 참가하는 큰
규모
의 대회가 됐다. 처음에 아이젬은 연구경험이 많지 않은 대학생으로 팀의 참가자격을 제한했지만 최근에는 고등학생도 참가할 수 있게 대회의 문턱을 더 낮췄다. 숫자를 세는 세균, 중금속 오염된 물을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면산에서 일어난 산사태는 15곳 이상에서 0.05~1.8ha 일어났다. 모두 더하면 약 5.7ha
규모
다. 그러니까 전국적으로 이런 산사태가 한 해 평균 120개는 일어난다는 뜻이다. 올해에도 경남 밀양과 경기 포천 등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마을을 덮친 사례가 있다.산을 깎아 일어난 산사태 예보 못해그렇다면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 순수 관광객만 시 인구보다 많은 3만 5000~4만 명에 이른다. 바닷가를 매립하거나 대
규모
시설을 세우지 않아도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이런 성공에 힘입어서 카시마 시는 평소에도 갯벌체험을 할 수 있도록 상시체험관을 만들었다. 환경교육도 하고 수족관에서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리드 섬으로 만들 계획를 세우고 있다. 고립된 섬이면서 전기차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
를 갖추고 있고, 재생에너지 산업도 발달한 제주도를 세계 최초의 ‘탄소 제로 녹색섬’으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스마트 그리드는 전기공학에 IT와 반도체 기술을 접목해야 하는 기술입니다.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많은 생물의 게놈은 다 어떻게 해독하고 계신 건가요?”박 센터장은 “외국에 비해 작은
규모
긴 하지만 염기서열을 해독할 수 있는 시스템은 모두 갖추고 있다”며 실험실 속 작은 방으로 기자를 이끌었다. 이곳에는 염기서열 해독 기계(시퀀서)가 잔뜩 놓여 있었다.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차세대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구조물이 기존 3세대 가속기의 저장링이고 긴 직선 구조물이 4세대 가속기다. 모양과
규모
가 많이 다르다.]3세대형인 포항방사광가속기(PLS:Pohang Light Source)는 1994년 완공 당시 10기의 삽입장치만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었지만 성능향상된 PLS-II에서는 이전보다 2배 많은 20기의 삽입장치를 설치할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완성되면 큰 파급력이 예상된다. 윤 박사는 “앞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기술의 시장
규모
가 커질 것이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크다”며 “이 기술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중에서 최초로 상용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❶ 작업장의 색채를 시뮬레이션하는 모습. 기존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투수성 포장, 단지를 녹지로 만들었다. 빗물을 모으기 위해 건물 지붕에 홈통과 소
규모
배수로를 만들어 빗물이 흐르게 했다. 이 빗물을 단지 내부의 투수구덩이로 흘려보내 빗물 속의 이물질을 여과했다. 투수구덩이가 넘치면 빗물 유도로로 흘러 단지 저지대에 있는 투수 연못으로 모인다. 이런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GIST만의 강점으로 한 기수에 100명에 불과한 학생 수를 꼽았다.“GIST는 무작정 대학의
규모
를 늘리지 않습니다. 교수 대 학생의 비율(1대 10)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교양과목이 한 반에 10~15명 내외, 필수 기초과학과 전공과목은 15~20명 내외의 학생이 수강하고 있습니다.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종합해양과학기지위치 제주도 남서쪽 바다에 위치한 이어도설치 시점 2003년 완공
규모
높이 76m(수중 40m, 수상 36m), 면적 약 1300㎡우리나라에 오는 태풍의 대부분은 이어도를 통과해 와요.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는 2004년 여름에 연속해서 온 태풍 4개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상청에 제공했지요.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