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책임
가중
부담
맡은이
값
처리
유지
d라이브러리
"
담당
"(으)로 총 2,518건 검색되었습니다.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약 3조원(23억 유로)의 EU와 민간 투자자금으로 설립한 갈릴레오 컨소시엄이 사업 추진을
담당
한다. 마지막 상업화 단계인 2008년 이후에는 연간 2900억원(2.2억 유로)을 민간 수익에서 충당하며 운용도 민간회사로 완전히 넘어가게 된다.최근 들어 당초 계획보다 초과 비용에 대한 추가 부담과 비유럽권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같은 시스템을 운용한다. 탑재체전문가는 탑재체 운영에 대한 책임자로 주로 우주실험을
담당
한다.스페이스랩-J : NASA와 NASDA(현 JAXA)가 공동으로 진행한 우주왕복선 유인 실험모듈 설치 및 우주실험 프로젝트. NASDA에서는 35개의 실험을, NASA에서는 7개의 실험을 지원하여 모두 44개의 실험을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완성한 것. 개념설계와 기본설계는 삼성중공업과 한국해사기술이, 실시설계는 STX조선이
담당
했다.올해부터 약 3년에 걸쳐 진행될 2단계에서는 본격적인 건조가 이뤄진다. 건조를 맡을 업체는 국제입찰을 통해 공모할 예정이다. 연말쯤 부분별 건조를 시작하고 2007년부터 완성된 부분을 조합한다.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날카로운 문제 제기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황 교수 논문과 연구 성과의 검증을
담당
하고 있는 서울대측도 이들이 제기한 사진조작과 DNA검사결과 의혹을 중점적으로 검증했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 등 일부 외신은 “한국의 젊은 과학도들의 승리”라는 논평을 내놓기도 했다.하지만 정작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조선무 다리가 비결허리는 소위 ‘롱허리’가 많다. 허리가 길면 주로 몸통 운동을
담당
하는 가슴등뼈를 돌리는 힘인 회선력이 커진다. 옆에서 보면 허리는 두텁고 단면이 둥글다. 따라서 몸통을 굽히거나 펴고 돌리는 움직임이 용이하다. 또 허리가 굵으면 복부의 내·외복사근의 근력 전달이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보여 왔다. 종종 네이처와 견해를 달리하면서 각각 미국과 유럽 과학계의 대변자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대중이 직접 사이언스와 네이처의 최신 과학논문을 직접 읽는 경우는 드물며 보통은 신문과 방송, 대중지에서 과학 기자의 해설기사와 뉴스를 접한다. 세계 15개국에서 100만 부 이상을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떠날 박윤호입니다. 저는 태풍의 생성부터 소멸에 이르기까지 모든 관측과 예보를
담당
하는 기상청 태풍전담팀에서 일하고 있어요. 요즘은 태풍이 많이 발생하는 계절이라 휴가도 가지 못하고 바쁘게 보내고 있지요.여러분은 일기예보를 주의 깊게 보나요? 대기는 늘 움직이고 변하기 때문에 몇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문계 출신 애널리스트가 이공계 대학원을 다시 다닌다. 대우증권에서 제약업종을
담당
하고 있는 임진균 애널리스트는 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하고 애널리스트로 일하다가 지난 99년 중앙대 의약식품대학원에 진학해서 석사학위를 받았다.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미국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법칙을 줄줄 꿰고 있다. 그런데 ‘전자기학의 아버지’격인 맥스웰은 알지 못했다.
담당
교사는 “교과서에 맥스웰이 등장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중앙대 물리학과에 합격한 또 다른 3학년생은 과학탐구영역에서 선택한 과목이 물리가 아니라 화학이다. 지원 자격에 물리II를 선택해야 한다는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작다. 백색왜성의 존재는 별의 성장을 해결해 주는 열쇠가 돼 천문학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
하게 된다. 낮에도 보이는 시리우스해가 뜬 대낮에는 별이 보이지 않는다. 물론 별이 사라져서 안보이는 것이 아니라 태양빛이 너무 밝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는 경험으로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