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착"(으)로 총 2,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뛰기 시작한다. 필사적으로 뛰었기 때문일까? 가까스로 지각 시간에서 3분 일찍 교문에 도착한다.택시마다 기준이 다른 택시미터기자동차의 바퀴가 클수록 한 바퀴를 돌더라도 더 많이 움직인다. 이 때문에 택시미터기에 적용되는 기준은 바퀴가 다른 택시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 이런 이유로 모든 ... ...
- Part 6. 최고 수학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준비한 셔틀버스를 타고 개막식이 열리는 하이데라바드 국제 컨벤션센터로 향했어. 도착하자마자 현장등록을 하고 시상식 장소인 3홀에 들어가 앞자리에 자리를 잡았지.10시쯤 되었을까? 국제수학자대회를 준비한 국제수학자연맹(IMU) 회장과 임원, 인도 수학계의 인사가 무대 위로 올라왔어. 그리고 ...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뛰어다니는 허풍과 도형. 과연 이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난 걸까?3일 전, 이집트 카이로에 도착한 허풍과 도형. 평소와 마찬가지로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시내를 돌아다니고 있다.“도형아, 왜 그렇게 풀이 죽어 있는 거냐? 설마…, 터키의….”“아! 니! 에! 요! 무슨 말도 안 되는 말씀을 하시려는 ...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수학동아 l2010년 10호
- 환영 인사였어. 제주도에 도착한 걸 단번에 느낄 수 있었지. 공항에서 1시간쯤 걸려 도착한 ‘제주국제컨벤션센터’는 건물부터 으리으리하더라고. 작지 않은 행사라는 걸 알 수 있었어.행사장에서 가장 눈에 띈 건 커다란 수학 구조물이었어. 빨대처럼 생긴 가벼운 플라스틱으로 만든 3단 ... ...
- 도로 사용설명서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무늬에 눈길이 간다.도로는 저마다 하나씩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출발지와 도착지가 남북으로 놓인 도로에 홀수 번호, 동서로 놓인 도로에 짝수 번호를 붙인다. 부산과 전남 순천을 동서로 잇는 남해고속도로는 10번, 전남 무안과 서울을 남북으로 잇는 서해안고속도로는 15번이다. ...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영국으로 파견했답니다. 8월 말 캐나다에 4명, 9월 말 영국에 6명의 선생님이 현지 학교에 도착했어요. 이 분들은 앞으로 6개월에서 9개월 동안 외국 학생들을 가르칠 예정이에요. 수학동아는 선생님들이 전해 주는 외국 수학교육의 현장을 소개할 거랍니다. 이 코너를 통해 외국의 수학수업을 경험해 ... ...
- 달팽이의 봄소풍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아함~. 친구들 안녕? 나는 한국에 사는 명주달팽이야! 드디어 봄이 왔구나! 이번 겨울은 너무 길었어. 게다가 내가 좋아하는 먹이인 푸른 잎이 없으니 잠에서 깰 수가 없지 ... 나처럼 한 걸음씩 씩씩하게 걸어나가라고 말해 주고 싶어! 그럼 언젠가 예쁜 보석 궁전에 도착할 수 있을 거야 ...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수학동아 l2010년 09호
- 가파르다. 따라서 가파른 곳에서 속력이 빨라지면서 직선에서 내려올 때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다. 놀이공원의 롤러코스터, 스케이트 보드의 경기장, 수영장의 미끄럼틀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의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한 예다.사이클로이드 곡선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고풍스러운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조금씩 문명의 흔적을 지워나갔다. 시드니에서 북서쪽으로 500km를 달려 쿠나바라브란에 도착했다. 호주를 대표하는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Siding Spring Observatory) 근처,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자주 찾는다는 펜션에 짐을 풀었다. 첫날밤은 별도 사람도 구름 이불을 덮고 잠을 청했다. 다음 날 아침, ...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구별되는 파동이 동일시간에 동일공간에 존재하는 현상이다. 이렇게 중첩된 파동은 도착점에서의 형태에 따라 보강간섭과 상쇄간섭을 일으킨다. 보강간섭은 파동의 효과가 더 커지는 현상을, 상쇄간섭은 반대의 현상을 만들어낸다. 빛이 입자인가 파동인가에 대한 토론은 17세기부터 18세기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