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마찬가지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정체
d라이브러리
"
동일
"(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경우를 제외하면 평생 변하지도 않는다.우선 정확한 비교 분석을 위해서는 감정관들은
동일
한 사람이 쓴 여러 샘플을 갖고 있어야 한다. 사람들은 저마다 나름대로의 필체 범위를 지니고 있다. 레스토랑에서 식사한 후 신용카드 영수증에 서명할 때와 집을 산 후 계약서에 서명할 때 우리는 같은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하는 것을 막는 힘 이는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분자 간의 응집력에 기인한 것이다
동일
분자를 2개 이상 결합, 분자량이 큰 화합물을 생성하는 반응 이 중합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을 중합체 혹은 폴리머라고 한다 이에 대응하는 말로 단량체(monomer)가 있는데 이것은 중합체의 원료가 되는 화합물을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것임을 증명하는 과정을 '식별'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식별 가능하다는 말은 증거물이
동일
한 개체에서 유래됐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만일 현장에서 발견된 찢어진 하얀 천조각이 용의자 셔츠의 찢어진 부분과 형태가 정확히 일치한다면 식별된다고 볼 수 있다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횟수는 개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극소위성들의 반복횟수를 조사하면 실제
동일
한 DNA를 갖고 있는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친자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DNA 프로파일링이 바로 이 방법이다. 현재 복제인간을 추진중인 연구진은 복제아기가 정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황우석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체세포 제공자와 완전히 일치하는
동일
한 인간으로 되지는 않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
한 유전자를 가진 복제인간을 만들어냄으로써 의도하는 인간을 생산한다는 연구자의 태도는 인간이 열려진 존재라는 사실, 즉 인간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접근방법이고 더 나아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성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던 과거에는 단지 하나의 별로 여겨져 다른 별과
동일
하게 취급받았다. 오리온대성운도 독일의 요한 바이에르에 의해 오리온자리 세타(θ)별로 분류됐다.최초로 오리온대성운이 별과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했던 사람은 프랑스의 니콜라스 파이레스크였다.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생태학이 포함돼 있다.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동일
할지 모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절대로
동일
할 수 없다. 복제인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유전자 복제보다 우리가 더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은 유전자 조작의 문제이다. 복제인간은 한둘 만들어보다 시들하게 느낄 가능성이 크다. 한번도 우승을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정립했다.최근 개는 활동 무대를 미국으로 옮겼다. 개는 암, 간질, 혈우병 등 인간과
동일
한 유전병을 갖고 있어 개를 통해 인간 유전병의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 일이 가능하다. 코넬대에서 개의 게놈 지도를, 버클리 소재의 캘리포니아대에서는 유전에 따른 개의 행동과 모양을,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총칭 현재 알려진 33가지 형의 아데노바이러스 중 약 2/3에서 병원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동일
한 질환을 여러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예도 있고 반대로 한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여러 종류의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은 근육을 구성 하고 있는 온 단백질의 40%를 차지하는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특정 서열이 유전자로 밝혀지면 제일 먼저 이미 기능을 알고 있는 서열 중 비슷하거나
동일
한 것이 있는지 찾는다. 이는 인터넷의 야후와 같은 검색프로그램과 비슷하다. 우리가 모르는 것을 찾을 때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들이 이해에 도움을 준다. 마찬가지로 유사한 염기서열은 비슷한 기능을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