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같은 겉보기크기라 할지라도 멀리 있는 물체가 커보이는 착시가 여기에도 적용된다.
망원경
으로 지상의 물체를 볼 때에도 동일하게 느껴진다.필자는 운좋게도 경관이 좋은 방을 연구실로 배정받았다. 창너머로는 멀리 떨어진 전파천문대 건물이 보이고 그곳으로 가는 굽어진 도로도 보인다. 그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망원경
의 아랫부분에 설치되는 전하결합소자(CCD)는 1억개의 픽셀로 구성된다. 일반
망원경
이 수십억 광년을 관찰할 수 있는데 비해 스바루는 1백50억 광년 떨어진 물체를 볼 수 있다.때문에 스바루의 CCD가 받는 데이터를 이용해 천문학적 모델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1초에 1천억번을 계산할 수 있는 ... ...
태양계 밖 행성 10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넘는 크기의 거대전파
망원경
(SKA) 설립 협정을 맺어 2015년 운영할 계획이다. 이 거대전파
망원경
은 수소가스에서 방출되는 희미한 전파를 탐지하며 외계 생명체 탐색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오늘도 천문학자들은 새로운 행성 찾기에 나서고 있다.또한 이미 발견된 행성에 대한 추가 연구도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의해 76%가 가려진다. 두별은 지구와 태양 거리의 1/15정도로 너무 가까이 붙어있기 때문에
망원경
으로도 반성이 보이지 않는다. 알골은 변광주기가 짧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카시오페이아 베타별(2.3등급)과 델타별(2.7등급) 등의 밝기를 익혀놓고 서로 밝기를 비교해보면 변광 과정을 알아챌 수 있다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알았다. 갈릴레이가 가장 놀란 점은 구덩이(crater)가 있다는 사실이었다. 나중에 좀더 큰
망원경
으로 자세히 들여다보니, 달의 밝은 부분(고원)에는 구덩이가 많은 대신, 어두운 부분(바다)은 평탄하며 구덩이가 적었다. 이것은 달의 바다가 고원보다 젊다는 것을 뜻한다. 달의 구덩이는 운석이 떨어져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전망이다. 나아가 생명체의 흔적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화성 '운하' 희대의 해프닝
망원경
이 발달하면서 화성은 인류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왔고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시켰다. 화성에 물이 존재할 것이라고 처음 주장한 사람은 천왕성을 발견했던 영국의 천문학자 허셜이다. 허셜은 ...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건수는 시간에 대해 지수함수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앞으로 보다 발전된 '위성탑재
망원경
'들이 속속 선보일 것이고, '전자 눈'을 실은 그 로봇들은 우리 사고속에서 우주의 모습을 또 다시 여러번 바꿔놓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떨어진 거리에 있는데, 성운 속에는 막 태어난 별들이 성운을 밝게 비추고 있다.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잡은 영상을 보면 중심부에는 아직 많은 암흑성운이 남아 있어 그 안에서도 별이 태어나고 있다. 마치 파도에 침식된 바닷가의 기암같이 높이 솟은 기둥에는 곳곳에 작은 돌기가 보이는데, 이것은 ... ...
Ⅱ. 우주의 모든 신호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분해능은 광학
망원경
에 비해서 매우 낮다.하지만 전파천문학자들은 여러 대의 전파
망원경
같은 효과를 내게 하는 전파간섭계와 구경합성의 원리를 응용해서 광학망원겨옵다 더 좋은 분해능을 얻고 있다.보통 구경합성
망원경
은 몇 개의 고정된 전파
망원경
과 움직일 수 있는 여러 개의 ... ...
한국천문 연구원, 소행성 2000KJ4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견은 지난 5월 28일 밤 9시 20분경 보현산천문대 1.8m 반사
망원경
을 이용해 지구접근소행성에 대한 추적관측을 수행하던 중 이루어졌다.발견 사실은 곧바로 국제천문연맹 산하 국제소행성센터에 보고됐고, 국제소행성센터에서는 이 천체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소행성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