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도의 열대과일, 에떻게 기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요컨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만 만들어주면 전혀 새로운 종류들도 재배·
번식
이 가능한 게 요즘 세상이다.물론 이같은 '인공을 가하는 식물재배'를 하려면 그에 따른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경제성만 맞출 수 있다면 오늘날 크게 발달한 시설재배기술수준으로 얼마든지 색다른 식물을 다양하게 ... ...
다윈은 과연 옳았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것이다. 만일 지구가 외계 유전자의 모든 근원으로부터 차단된다면, 곤충은 죽을때까지
번식
하지만 여전히 곤충일 뿐이다. 원숭이 또한 더 많은 원숭이만 만들고 말뿐 실로 지구는 스산한 곳이 될것이다.그러나 신 다윈론자의 생물관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난점은 미생물이 너무 복잡하다는 ... ...
가장 오래된 식물은 어떤 것들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살던 식물이 육지로 올라온 것은 약 4억년전 (고생대 데본기 초)이었으며 그로부터 점점
번식
하여 지상에 대삼림을 이루게 되기까지는 1억년이란 긴 세월이 소요되었다.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데본기에 해당하는 지층의 발달이 없기 때문에 원시적인 육상식물화석은 찾아볼 수 없으며 훨씬 진화된 ... ...
묘목의 배양법 발견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개발한 기술로 수목에서 떼어낸 성장점을 특수한 환경에서 배양하여 대량으로
번식
시키는 것. 식물의 줄기 제일 끝 부분에는 성장점이라는 가장 세포분열이 활발하고 불순물이 적은 부분이 있다. 이 성장점의 조직을 0.5㎜에서 1㎜ 정도 떼어내 세포분열과 비대를 촉진 시키는 특수한 호로몬이 든 ... ...
조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들이나, 전남의 목포부근까지 내려가 겨울을 지내다가 이듬해 2월 중순부터 3월이면 다시
번식
지로 북상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두루미는 매우 한정된 지역에 한정된 수가 찾아오고 있다. 그것도 인적이 드문 비무장지대인 강원도 철원군 동성면에 약 80마리, 판문점 대성동마을 부근 들에 약 20마리,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세계적으로 약 80만종이, 한국에서는 5천여종이 알려졌고 갑각류는 물속에서 크게
번식
해 세계적으로 약 3만2천종, 한국에서 약 5백30종이 알려졌다. 마지막으로 이처럼 다양한 동물들의 상당수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는 점을 들지 않을 수 없다. 세계적으로 현재 2백80종의 포유동물과 3백50종의 ... ...
곤충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꽃벌 뒤영벌 등은 이 꽃에서 저 꽃으로 옮기며 화분을 매개하여 자연에서 꽃피는 식물의
번식
을 돕고 있다. 한편 해충의 천적으로 일하는 좀벌 고치별 맵시벌 등의 기생벌이나, 구멍벌 대모벌 나난이 같은 사냥벌도 종류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알려진 벌류는 1천여종에 달하나 미세한 벌을 더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꽃이 피는 식물의 98%가 하와이에서만 있는 독특한 것이다. 그중 포자가 바람에 날려 쉽게
번식
되는 양치류는 65%가 하와이에만 존재하는것이다. 이런 점에서 화와이제도는 찰즈다윈이 생물진화를 연구하게 한 갈라파고스제도와 비슷하다. 하와이제도에서 서식하는 홍작새는 갈라파고스제도의 ... ...
인간의 뇌세포 재생가능?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행위를 지배하는 뇌영역이 조그맣게 오므라든 것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다시 카나리아의
번식
기가 되자 같은 부위가 확대되었다. '노테봄'씨는 동료인 '스티븐골드만'과 '존 페이튼'의 협력을 얻어 이 확장이 새로운 뇌세포의 형성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밝혀냈다.또한 이 형성이 호르몬의 통제에 ... ...
열강의 각축장 남극대륙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남극은 지구상의 마지막 프런티어다. 오염되지 않은 이 지역에 단백질이 풍부하고
번식
력이 강한 크릴이 많이 있고 지하 자원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1960년대 후반에 발견된 크릴은 길이 5cm정도의 갑각류로 새우와 비슷하게 생겼다. 바다 표면 가까이에 떼지어 있기 때문에 한번 그물을 올릴때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