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변화
를 감지하게 된다. 우리 몸의 온도 감지능력은 생각보다 꽤 예민해 단 0.01도의
변화
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맞춰 인체는 생리현상을 조절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중에서 주변 온도가 낮아졌을 때 우리 몸은 크게 2가지 반응을 나타낸다. 첫 번째는 교감신경의 작용이다. 이를 통해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모양으로 바꾸고 싶다면 물질 점과 가까운 격자의 교점에서 속도와 부피, 무게 등의
변화
량을 계산하고 다시 물질 점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눈의 모습을 만들어내지. 이때 처음 물질 점들이 교점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따라 바뀐 정보를 반영하는 정도는 달라져. 이런 MPM 방법은 오일러와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나타나는 전하의 이동 현상을 연구한다. 아이오닉스는 전해질 내부 이온의 구조와 운동
변화
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겔고분자 전해질이 액체 전해질보다 안정성은 훨씬 높은 반면 이온전도도와 충·방전 효율 모두 절반 이하로낮다. 그런데 이 교수팀은 겔고분자 전해질로 리튬이온전지를 만들어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nm (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기저항의
변화
를 측정했다. 그 결과 줄이 진동하며 소리를 내고, 더 이상 전압을 걸어주지 않더라도 진동은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동하는 줄은 약 231MHz의 초음파를 냈다.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안의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5~10% 넣으면 어는 점이 0도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이 상태로 몸에 넣고 얼리면 액체의 상
변화
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세포가 망가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혈액을 동결억제제로 치환하는 작업은 최소 24시간에서 많게는 48시간이 걸립니다. 먼저 인체의 온도를 4도가량으로 낮추고, 동결억제제를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16/j.powtec.2015.05.010 하지만 2017년 큰 사고를 겪으면서 인생관에
변화
가 생겼다. 그는 “경추 골절 사고를 겪은 뒤 오랫동안 병상에 누워 있으면서 인생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다”며 “수험생들이 수능이 끝나면 하고 싶은 일을 적듯이 다시 일어나면 하고 싶은 일을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제형이 등장하고 산업 환경이 변하면서 늘 새로운 일을 하는 것 같았다”며 “이런
변화
는 오히려 호기심을 자극했고, 새로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도전하는 과정이 쌓여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언젠가는 자원개발 연구를 북한까지 확대해보고 싶어요. 북한에는 아직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전기 저항이 포도당 농도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이를 역으로 분석해 포도당의 농도
변화
를 확인하는 것입니다.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부도체 소재는 스마트 콘택트렌즈에서 유전체로 사용됩니다. 유전체는 전하를 모아놓는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투명하면서 변형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실리콘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암’과 ‘세포’ 법칙 안 벗어나 올해 생리의학상은 세포가 산소의
변화
를 어떻게 감지하고 대응하는지 그 과정을 밝혀낸 세 명의 의·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이 발견으로 빈혈과 암 등 수많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개발을 총괄했으며, 정밀한 관측을 통해 별과 행성에 의한 미세한
변화
를 연구하고 있다.slkim@kasi.re.kr 용어정리*도플러 효과별이 우리(관측자)한테서 멀어지면 별빛은 파장이 긴 빨간색으로 변하고, 가까워지면 파장이 짧은 파란색으로 변하는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