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나만의 지구를 설계한다면? '지구설계사무소'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어서 오세요. ‘지구설계사무소’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그런데 처음 오셨군요.저희가 샘플로 멋진 지구를 한 채 설계해 드리지요. 물론 설계비는 무료입니다.나중에 진짜로 지구를 지을 마음이 생겼을 때 저희 사무소를 찾아주시는 걸로 충분해요.단, 예약은 꼭 미리 주세요. 저희는 외계생명체들 ... ...
- 최종 병기 애니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태평양 한가운데 떠있는 함정의 레이더에 물고기 떼가 접근하는 게 포착됐다. 평범한 물고기 떼겠거니 가볍게 넘긴 것도 잠시, 갑자기 물고기 떼가 함정에 부딪치기 시작했다. 함정은 곧 폭발음과 함께 화염에 휩싸였다. 물고기에 달린 폭약이 함정에 부딪혀 폭발한 것이다. 도대체 누가, 어떻게 물 ... ...
- 자연은 디자인이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영화 ‘건축학개론’의 한 장면. 남자 주인공(엄태웅 분)이 여자 주인공(한가인 분)에게 설계안을 보여준다. 영어와 어려운 말을 잔뜩 섞어가면서 한참 설명하는데, 못 알아들은 여주인공이 급기야 짜증을 낸다. “왜 그렇게 어렵게 이야기해?”엉망이 된 ‘꽃의 도시’이유는 모르지만, 건축이나 ... ...
- 자동차 한 대를 4분 만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분의 1m)로 머리카락 세 가닥을 합한 크기예요. 이것을 만든 건 3차원 프린터예요. 자동차 설계도를 모니터에 띄우고 인쇄 버튼을 누르면 종이에 그림이 그려지듯 이 자동차가 만들어져요. 3차원 프린터 안에는 가루나 액체 형 태로 플라스틱이 담겨 있는데, 접착제나 빛이 닿으면 딱딱하게 굳어요. ... ...
- 사각지대 없는 사이드미러 발명!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최근 미국 드렉셀대 수학과 앤드류 힉스 교수가 사각지대 없는 사이드미러를 발명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사이드미러는 거울의 표면이 평평해 차량 근처의 일부분은 볼 수 없다. 이렇게 거울로 확인할 수 없는 일정 부분을 사각지대라고 한다. 기존 사이드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시 ... ...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수학동아 l2012년 07호
- 분수를 연출할 수 있도록 펌프와 배관, 노즐의 위치를 계산해 배치한다. 4 분수 설치설계도가 완성되면 실제로 분수를 설치한다. 만약 새로 개발된 분수라면 분수가 제대로 돌아가는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을 한 다음 실제로 분수를 설치한다. 설치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의 테스트를 거친다. ...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세상에 슈퍼컴퓨터가 좋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슈퍼컴퓨터를 쓰고자 엄두를 내는 사람도 없습니다.”김종원 고성능컴퓨팅 협업환경연구센터장(이하 고성능 컴퓨팅센터)은 국내에서 슈퍼컴퓨터가 경제성이 없는 이유를 이같이 지적했다. 슈퍼컴퓨터는 그 자체도 가격이 비쌀 ...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뚫느냐, 뚫리느냐. 창과 방패의 싸움인 암호 전쟁이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치열하게 펼쳐졌다. 전장의 한복판에는 튜링이 있었다. 독일은 ‘에니그마’라는 암호를 만들거나 해독하는 기계를 만들어 썼는데, 연합군은 이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골머리를 앓았다. 결국 영국 정부는 정부암호학교(GCCS) ... ...
- 세계인이 주목할 런던 올림픽 주경기장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오는 7월 27일 런던올림픽이 개막한다. 화려한 개막식과 폐막식이 열릴 올림픽 주경기장 건설에 들어간 공사비용은 총 4억 6800만 파운드(약9000억 원)다. 8만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이 경기장을 짓는 데 4년이 걸렸다.경기장 설계는 운동경기장과 대형 컨벤션 센터 설계로 잔뼈가 굵은 다국적 기업 파 ...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과학이 현대사회를 이끌어나가는 이론 체계로 올라올 수 있었던 데는 과학적 방법론이라는 인식 체계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과학적 방법은 이론을 제시하고 실험으로 이를 검증하면서 기존 지식 중에서 실험 결과와 맞지 않는 것은 버리고 새로운 설명을 찾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종종 패러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