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식물체가 있다면 잎의 탈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까. 지난 2003년 연구자들은 에틸렌의
신호
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변이 자작 나무를 만들었다. 이 변이체와 자연 상태의 개체(야생형)에(둘 다 잎이 무성하게 달려 있다) 에틸렌을 3일간 뿌려줬다. 그 결과 야생형의 식물에서는 잎의 탈리과정이 ... ...
소셜엑스레이 안경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 결과로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았으면 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최대한 많은 생체
신호
를 수집하는 법을 개발하고 있답니다. 이제 소셜엑스레이 안경의 원리가 이해되셨나요? 저희가 개발 중인 안경을 하나 보내드리죠. 또 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 연락 주십시오.”“이게 정말 효과가 있을까 ... ...
보노보도 친구가 소중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의리파라니까요.그런데 소리에 따라 동료들의 반응도 다르네요?당연하죠! 사과가 있다는
신호
에는 시큰둥하다가도 이렇게 강력한 소리를 들었을 때는 키위를 찾기 위해 모두 몰려간다구요. 먹이를 찾는 데 더욱 집중하게되는 거죠. 동물원에서 보노보를 만난다면 우리들이 내는 소리를 잘 들어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여행하는 사람이 우주선의 시계에 따라 1분 간격으로 지구로
신호
를 보낸다고 하자. 이
신호
를 지구에서 기록하면 1분 1초 간격이다. 우주선의 시간이 지구의 시간보다 천천히 가기 때문이다. 물론 우주비행사는 우주선의 시계가 제대로 가고 있다고 느낀다. 지구에서 보기에 더 천천히 가는 것이다.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는 신경세포에서 만들어진다. 이 신경세포들은 대뇌피질로 연결돼 도파민을 이용해
신호
를 전달한다. 그런데 대뇌피질 중에서도 주로 전두엽과 연결이 돼 있다. 따라서 도파민의 저하는 곧 전두엽 기능의 저하로 나타난다. 대표적인 도파민성 질환인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의 뇌를 봐도 전두엽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책에 등장하는, 가상으로 묘사된 의식의 백업 과정은 기괴하다. 의사가 뇌의 전기
신호
를 컴퓨터에 재현하고, 세밀한 조절이 끝나면 육체는 버려진다. 의식은 기계 두뇌와 몸속에서 생명을 이어간다. 여느 과학소설이나 영화보다 세밀한 묘사다. 더구나 인간의 신경망이나 망막 구조를 응용해 생체 ... ...
건전지 없이 라디오를 듣는다고? 광석라디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성분만 남게 돼 이를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다.보통 라디오에는 다이오드를 통과한 전기
신호
를 증폭하는 기능이 들어있는데, 이때 건전지가 필요하다. 광석라디오는 건전지 대신 공중에떠다니는 전파에서 이어폰을 진동시키는 힘을 얻는다. 광석라디오의 안테나는 공중의 전파를 잘 잡기 위해서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다. ‘이다/아니다’와 ‘예/아니오’가 대표적인 예다.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생체
신호
도 세포막 안팎의 전위차가 +와 -로 표시되는 비트 정보다. 19세기 모스 전신부호나 20세기 전자식 통신 또는 정보처리 장치에 쓰이는 온/오프 스위치 방식 역시 비트다.1959년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물고기는 언어 중추에서 나오는
신호
를 먹고 소화시켜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신호
로 바꿔 배설한다. 소설속에서 어쩌다 우주여행에 나서게 된 주인공은 바벨피쉬를 귀 속에 집어넣은 뒤 외계인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얼마나 편리한가. 외국어 공부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보면 귀가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교수가 이끄는 ‘컴퓨터 네트워크 및 보안 연구실’에는 이렇게 센서를 달고 서로
신호
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형 자동차를 여러 대 만들어 두었다. 이 자동차로 앞차의 속도에 따라 자신의 속도를 조절하고 장애물을 알아서 피하는 실험이 한창 진행 중이다. 앞으로는 자동차의 실제 주행 속도에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