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었다. 하지만 후세의 그리스 철학자들은 탈레스가 기하학을 논리적으로 확립한 공로를
인정
하고 있다.르네 데카르트(1596~1650) 수학데카르트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결합시켰고, 오늘날 쓰는 수학 기호를 여럿 만들었으며, 직각으로 만나는 두 축을 이용한 좌표체계를 만들었다.우리가 오늘날 ... ...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난다는 거야. 4원소설은 영국의 화학자 돌턴이 원자설을 주장하기 전까지 2000년 넘게
인정
받았어. 이처럼 4는 세상의 여러 현상을 나타내는 데 많이 쓰이고 있어. 방위를 나타낼 때도 동서남북처럼 네 가지로 나누지. 계절을 뜻하는 봄·여름·가을·겨울도 네 가지로 돼 있어. 전통 속의 숫자 41 ...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많은 사람들이 갈망했음에도 불구하고 감히 다가갈 수 없는 세계였다. 그러나 무한을
인정
하면서 수학은 놀랍도록 발전했다. 무한에 대한 인류의 호기심은 끝없이 작아지는 것을 무한히 많이 더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고, 미적분학과 집합론을 거쳐 이제 무한을 유한처럼 손쉽게 다룰 수 있게 됐다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탈레스를 최초의 수학자이자 과학자로
인정
하고 있다.기록에 따르면 수학자로서의 탈레스는 몇 가지의 기하학 정리를 증명했다. 이렇게 어떤 발견을 해 냈다고 이름이 기록에 남은 수학자는 역사적으로 탈레스가 처음이다. 또한 그림자의 길이를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00년 가까이 싸웠다. 결국 지금은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각각 따로 미적분법을 발견했다고
인정
받고 있다.과학파스칼은 물리학에도 관심을 갖고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이 압력에 관한 원리다.파스칼은 1646년 토리첼리의 대기압 실험에 대해 들은 뒤 수은을 이용해 같은 실험을 해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창조적 기술의 개발이 늦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상상력과 과학기술의 정체를 일부
인정
해야 한다고 말한다. 유 박사는 “반도체, 구동모터, 카메라, 인공지능 등은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인간의 상상력을 만족시키는 수준으로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기존과 다른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이 등장해야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유수의 과학저널에서 우리의 현미경들을 소개하면서 각각의 현미경이 세계 최초임을
인정
했다”며 “다만 국내는 사업가들이 광학 기기에 대한 국내 수요가 작다고 판단해 관련 업체를 세우길 주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 ...
가면우울, 그 억압의 심연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얼핏 보면 치매와 비슷한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가장 중요한 원인은 자기의 감정을
인정
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심리적으로 우울감은 ‘자기 자신에게 분노의 화살을 돌릴 때 느껴지는 기분’이라고 했는데 맞는 말이다.누군가에 대해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1958년 ‘머큐리’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다시 채용됐다. 가볍고 개량하기 쉽다는 점을
인정
받은 것이다.산소는 우주복의 허리에 달린 호스를 통해 들어가 순환하며 체온을 식혀 준 뒤 헬멧 오른쪽에 달린 배출구로 나간다. 배출구는 우주선의 생명유지 장치에 연결돼 남은 산소를 걸러내 다시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이 가능하다. 더 큰 문제는 본인이 느끼지 못하는, 또는
인정
하지 않는 감정이다.대표적인 예로 은연중에 부모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자식을 생각할 수 있다. 자식에게 부모는 막강한 존재다.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많이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