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초기에 산화 유기물이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사이언스’ 5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구름은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구름이 만들어지는 복잡한 과정이 불분명해 기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 과학자들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먼지 입자에 수증기가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DNA에 2개의 인공 염기를 지닌 새로운 인공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5월 7
일자
에 발표했다.세포핵 안에는 유전 정보가 든 DNA가 있다. DNA 가닥에는 A(아데닌), T(티민), C(시토신), G(구아닌) 등 4가지 염기가 붙어 있다. 3개의 염기가 모이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만들어진다. 만약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지구에 운석 충돌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피지컬리뷰레터스’ 4월 20
일자
에 발표했다.태양계 외부에는 장주기 혜성의 근원지라고 알려진 오르트 구름이 있다. 오르트 구름은 먼지와 얼음으로 이뤄져 있는데, 태양계와 함께 우리은하 내부를 움직이다가 3500만 년에 한 번씩 우리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무선으로 충전되는 심장박동기를 발명해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무선 충전은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다. 특히 단거리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들은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아주 짧은 거리 안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이 같은 사실을 연구하고 각각 ‘네이처 메디슨’ 5월 4
일자
와 ‘사이언스’ 5월 9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젊은 쥐와 늙은 쥐의 배 부분에 있는 혈관을 수술로 연결했다. 두 쥐의 순환계를 직접 연결해 피를 뒤바꾼 것이다. 그 결과 젊은 피를 받은 늙은 쥐에서 신경세포간의 연결이 긴밀해졌다.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은폐 기능을 유지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올해 2월 13
일자
에 발표했다. 최근 여러 언론에서 보도돼 화제가 된 그 논문이다. 다양한 파장에서도 물체를 투명하게 만들다 “사실 휘거나 접는다는 사실 외에 중요한 점이 따로 있어요. 2~18GHz 파장대의 빛에서 모두 ... ...
침팬지에게도 ‘침대는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사람은 침대를 고를 때 매트가 단단한지를 따진다. 침대 매트가 몸을 잘 받쳐 줘야 잠을 푹 잘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침팬지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단단한’ 침대를 좋아하 ... 잠자리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이 연구결과는 ‘플로스원’ 16
일자
에 실렸다 ... ...
유전자는 몰라~ 네안데르탈인 덩치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이들의 유전자 ‘스위치’의 위치와 종류를 조사한 뒤, 그 결과를 ‘사이언스’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유전자를 켜고 끄는 스위치 중 ‘메틸화’라는 화학반응에 주목했다. DNA에 메틸화가 일어나면 그 유전자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고 꺼지는데, 이를 통해 세포는 다른 세포로 분화해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자체를 줄이는 ‘지진 메타물질’ 실험에 성공해 물리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4월 4
일자
에 발표했다.메타물질은 흔히 ‘투명망토 기술’로 불린다. 통과하는 빛이 물체에 직접 닿지 않아 마치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되기 때문이다. 물체 주변을 원자로 촘촘하게 둘러싸 빛이나 소리, ... ...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리니스트도 ‘헷갈리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17세기 초에서 18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명장 안토니오 스트라디가 만든 ‘스트라디바리우스’는 현존하는 가장 우수한 바이올린이다.이 바이올린은 당시의 목재 ... 선택한 연주자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