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1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소개하려고 한다. 이해하기 쉽도록 최대한 요점만 말하는 것을 기본 콘셉트로 잡았다.
최근
에는 영상편집에도 관심이 생겨 영어교육을 하는 스타트업에서 영상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PD로도 활동하고 있다. 앞으로 10년 뒤에도 내가 여전히 아나운서로 활동하고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여전히 ... ...
[미국유학일기] 모두가 악동이 되는 날, 디치 데이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재학생들은 모두 ‘디치 데이(Ditch Day)’라고 답할 것이다. 디치 데이는 한국에서
최근
유행한 ‘방 탈출’ 게임과 비슷한, 일종의 ‘방 입장’ 게임이다.4학년 학생들이 방문 앞에 퍼즐을 만들어 놓고 놀러 나가면, 학교에 남은 후배들이 퍼즐을 풀어 선배들의 방을 어질러 놓고 방 안의 음식을 먹는 ... ...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000여 명이에요. 우리나라도 확진자가 46명까지 늘었어요. 다행히 이중 12명은 완치됐지만,
최근
발생한 확진자 3명이 해외여행도 다녀오지 않았고 이전에 밝혀진 확진자와 접촉했는지도 밝혀지지 않아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전염병이 해외에 들어오는 것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도 전파 중일 ... ...
[팩트체크] 새로운 7의 배수 판정법, 기존 방법과 똑같다?!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책에서 7의 배수 판정법을 봤을 땐 잘 이해되지 않아서 인터넷에서 찾아봤어요. 그런데
최근
에 기본적인 합동식 개념과 7의 배수 판정법 증명을 학원에서 배웠어요. 그 내용을 응용해서 모든 자연수에 대해 판정법을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하던 중 수학동아 기사를 보게 됐죠. 그래서 치카의 방법이 ... ...
[한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광수용체는 한 번 기능을 잃으면 회복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최근
10년간은 어떤 종류의 세포로든 분화할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안구에 이식해 광수용체가 있는 망막세포로 분화시키는 기술이 개발돼왔다. 하지만 이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피부세포로 전환시키는 ... ...
스피어x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우주 전체 관측 시도는 스피어x가 처음은 아니다. 가장
최근
에는 2009년 NASA에서 발사한 광역 적외선 탐사 우주망원경 ‘와이즈(WISE)’도 전 우주를 촬영하는 업적을 이뤘다. 그러나 전 우주의 분광 정보를 관측한 우주망원경은 아직 없다. 스피어x가 우주로 올라가면 ... ...
[호주 산불] 꺼지지 않는 ‘지독한 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번지기가 매우 쉽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019년 호주는 9월부터 12월까지의 강수량이
최근
120년 중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12월 19일엔 하루 평균 기온이 41.9℃로 관측 이래 역대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2019년 11월 ~ 2020년 1월 초산불이 호주 동부 지역을 뒤덮다산불은 11월이 되며 심각한 규모로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피사체와 가장 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다르다는 뜻이다. 그런데
최근
라제시 매넌 미국 유타대 전기및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은 빛의 위상을 자유롭게 바꿔 20cm 거리의 가까운 물체부터 6m가량 떨어진 먼 피사체까지 초점을 동시에 맞추는 다중레벨회절렌즈(MDL)를 개발했다 ... ...
[잘자란당 기호1 나미래] 실험하고, 진로찾고 즐거운 과학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동안 시험을 치르지 않는 자유학기제는 모든 중학교가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최근
교육부 조사 결과 올해는 자유학기제를 중학교 1학년 한 해로 확대해 ‘자유학년제’를 시행하는 중학교가 96.2%(3222곳 중 3101곳)로 사실상 전국 대부분의 중학교가 자유학년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는 그밖에도 무궁무진하다.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최근
지름이 100~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나노섬유로 20회 이상 세탁해도 재사용 가능한 멤브레인(얇은 면)을 개발했다. 서울시 산하 서울기술연구원은 5월 8일까지 상금 총 2억 원을 걸고 대체 필터와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