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실리콘밸리 노벨상 '브레이크스루상'에 초중력 분야 과학자들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미국 스토니브룩대 물리학과 교수, 세르지오 페라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천문
물리학과 교수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과학 오스카상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브레이크스루상은 2012년 러시아인 실리콘밸리 투자자 유리 밀너,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구글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 ...
3D 지도로 완성된 우리 은하… 평평하지 않고 휘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D)으로 보면 실제로는 뒤틀려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로타 스코론 폴란드 바르샤바대
천문
관측소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우리 은하에 속한 별의 위치를 관측해 3D 은하 구조를 구축했다고 이달 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리 은하에 속한 세페이드 변광성 2431개의 ... ...
'슈퍼문' 뜬다는데… 달 보러 가니 그믐달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달이 보름달일 때로만 제한한다”고 밝혔다. 실제 우주
천문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
천문
연구원 관계자도 “슈퍼문은 보름달로 보는 것이 맞다”면서 "비록 정식 과학용어는 아니지만 일부 기관들이 잘못된 정보를 간혹 내고 있어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8월 31일 달의 경우 올해 ... ...
[인사] 한국
천문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한국
천문
연구원 △광학
천문
본부장 김승리 △전파
천문
〃 김기태 ...
73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외계행성 3개 동시 발견… 생존 가능 행성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조금 큰 행성을 이르는 말이다. 태양계에는 미니 해왕성으로 분류되는 행성이 없다.
천문
학자들은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과 해왕성과 같은 가스행성 사이에 속하는 미니 해왕성을 행성 형성의 비밀을 밝혀줄 ‘잃어버린 고리’로 평가한다. 이번에 발견된 TOI 270 행성계는 항성과 행성 간 거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5K(켈빈. 절대온도로 –273.15℃가 0K다)로 계산됐다. 1964년 초 미국 벨연구소의 전파
천문
학자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우연히 우주배경복사(마이크로파)를 발견했고 온도가 3K임을 확인했다. 가모프와 앨퍼의 가설을 입증한 것이다. 1989년 발사된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인 코비는 ... ...
공전주기 6.91분밖에 안 되는 이중성계 백색왜성 관측
연합뉴스
l
2019.07.26
낮다는 것은 그만큼 밝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샌디에이고 팔로마
천문
대의 '츠비키 순간포착 시설(ZTF)'을 이용해 흐릿한 짝별이 약 7분 주기로 상대적으로 밝은 주별 앞을 지날 때 별빛을 가리는 것을 잡아내 J1539의 존재를 확인했다. {#pic} 연구팀은 특히 J1539 주별과 짝별이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성공적으로 돛을 펼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행성협회는 ‘코스모스’로 유명한
천문
학자 칼 세이건 등이 1980년 설립한 기구로 세계 100여 개국 6만 명 이상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라이트세일2호는 앞서 6월 25일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 ... ...
아인슈타인 이론, 먼 우주-블랙홀에서 다시 한번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잠재운 것으로 평가된다. 안드레아 게즈 미국 로스앤젤리스 캘리포니아대(UCLA) 물리
천문
학부 교수팀은 우리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거대한 블랙홀 주변을 도는 별의 빛 파장을 관측한 결과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예측한 것과 일치하는 특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해 ‘사이언스’ 2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학당》은 많은 가르침을 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후대의 기준으로 물리학, 화학,
천문
학, 생물학이라 부를 수 있는 거의 모든 분야에 큰 자취를 남겼고 그 영향력이 중세 1천 년 또는 그 너머까지 지속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점이라면 그가 자기 시대에 비해서 지나치게 똑똑하고 명석했다는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