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틀어지는 것을 보정해 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 점은 고속처리능력의 컴퓨터와 고
정도
위치측정기 가압기 등의 공업기술발달로 보정이 가능하게 됐다.또한 36매의 1. 8m 반사경을 조합해 한매의 포물면경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구면과 달리 중심(광축)으로 부터의 거리에 따라 면의 형상이 달라져야 ... ...
고정관념서 벗어나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특허나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것이 7천건이지만 막상 진주 생산에 필요한 아이디어는 10건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2만9천9백90건의 아이디어는 쓸모없는 아이디어였다. 그러나 그 나쁜 아이디어가 없었더라면 좋은 아이디어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발명가로 성공하려면 수준이 높은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넓은 미국에서 한 심리학자가 실제로 이 실험을 수행해 본 결과, 대다수의 사람이 1백번
정도
일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실제로는 두번 내지 열번 안에 도착됐고, 중앙값(median)은 다섯번이었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생활과 수학에서 나타는 우연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제시한 것인데, 역학에서 위대한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생각하고 지나쳤던들, 또 강철 실린더에 생긴 흰색가루를 잘못해서 들어간 먼지
정도
로 생각하고 넘겨버렸던들 테플론의 발명이 그리 쉽게 이루어지지는 못하였으리라.과학적 발명이나 발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한가지 요인은 그에 관여하는 과학자가 너무 박식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자신의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독립국가연합 사람이다. 승무원의 구성에서 미국 러시아간 현재의 우호관계를 어느
정도
반영한 셈. 세 승무원중 뉴먼은 기구를 타고 가장 멀리 그리고 오래 난 기록을 보유한 사람이고 모세는 이번에 타고 갈 기구를 주도적으로 제작한 인물.이 계획은 미국의 국립항공우주국(NASA)과 유리 가가린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다. 이름하여 멀티미디어 시대가 오고 있다. 얼마지나지 않아서 지금의 손목시계
정도
로 흔하게 개인용 휴대전화기가 보급될 것이다. 낙관론자들은 통신이 발달하면 할수록 민주주의가 번창할 것으로 전망하고, 비관론자들은 오히려 독재가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 ...
꿈,뇌간서 전기신호로 발생한 영상과 감정의 뒤범벅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띠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뇌간에서 나오는 첫번째 신경파는 잠이 든 후 약 90분
정도
지나서 시작된다. 그리고 깨기 30분전 쯤에 마지막인 네번째 파가 발생된다. 이 렘수면기동안 두뇌는 깨어있을 때보다 더 활발히 움직인다. 그러나 육체의 근육은 마비된 상태이기 때문에 몸은 조용히 ... ...
(3) 발암 위험성 높은 포장재 남용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운송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실정인 것이다.대리점에서 일반소매점으로 납품되는 과
정도
비위생적이기는 매한가지다. 이러한 '위생홀대'의 유통경로를 갖고 있는 우리의 실정에 미뤄볼 때 유통구조가 먼저 정착되지 않는한 유통기한만을 적도록 하는 것은 너무도 무모하고 부당한 처사라 생각된다.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궁금했습니다.권혁명 지도교수가 말씀하시기를 아비가 한번 날면 날개가 보이지 않을
정도
로 높이 비상하며 시베리아까지 멀리 간다고 했는데 그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하등조류이기 때문에 다른 새와는 달리 기름분비선이 없어 한번 물속에 들어갔다 나오면 몸을 말려야 한다는 것도 ... ...
바퀴벌레, 눈에 띈 마리수의 16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그 주변에는 얼마나 많은 수의 바퀴벌레가 살고 있을까. 그 수는 12마리에서 16마리
정도
일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요코하마시 위생연구소팀이 발표했다.바퀴벌레는 밤이 되면 잠복장소로부터 먹이를 찾을 수 있는 장소로 기어나온다. 이 성질을 이용해 실험이 이루어졌다. 까만 상자(11×15×5.5㎝)를 ... ...
이전
1317
1318
1319
1320
1321
1322
1323
1324
1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