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2,617건 검색되었습니다.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07
강한 섬유 등 용도에 따라 기능도 크게 다르다. 최근에는 스포츠 의류와 거리 패션의
구분
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따라서 스포츠나 레저용 의류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점점 더 다양화, 고기능화되고 있다. 땀을 신속히 흡수하는 면제품이 스포츠 의류의 주종을 이루고 있을 때 섬유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07
아주 맑은 밤이라면 성운을 흐릿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은하수의 조각인지 성운인지
구분
하기가 어렵다.쌍안경이 준비되면 좀더 명확한 볼거리를 구경할 수 있다. 여름철 은하수는 쌍안경으로 훑어보기에 너무나 좋은 곳이다. 특히 독수리성운이 위치한 곳은 더욱 그렇다. 쌍안경에서 ... ...
한국,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입상 쾌거
과학동아
l
200406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홍 군의 작품은 클라이언트가 특정 메일을 스팸으로
구분
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적절히 스팸메일을 방지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편의를 도모하면서 스팸메일 방지기능을 극대화시켰다. 이는 IMAP과 SM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스팸메일을 걸러주는 기존의 스팸메일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06
구경할 때 활성화되는 뇌의 부위가 거의 동일하다면 정신적 사랑과 육체적 사랑의
구분
이란 무의미한가?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것은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미 하버드대의 한스 브라이터 교수 연구팀은 코카인 중독자에게 코카인을 투여하면서 fMRI를 사용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6
철학적 근거를 둔다. 이에 근거해 생겨난 것이 오방정색과 오방간색, 그리고 잡색으로
구분
되는 독특한 색 분류체계다. 이같은 색체관은 유교와 도교사상과 어우러지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색채의식에 영향을 미쳤다.우리민족의 색채의식이 일목요연하게 표현된 바로 오방색이다. 오방(五方)은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06
관심을 가져 주길 바란다.엽상체해조류는 육상식물처럼 줄기, 잎, 뿌리 기관이 뚜렷하게
구분
돼 있지 않고 영양분과 물을 수송하는 관이 없다. 대신 육상식물의 잎과 비슷한 모양의 엽상체가 있는데 잎과 마찬가지로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다.무절산호조류마디가 없는 산호초 모양의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06
이를 밤에 활용한다. 낮에는 태양 복사열과 체온 사이에 간섭현상이 일어나 인체를
구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열적외선 탐지방식은 주로 태양이 없는 야간에 사용된다.미국과 러시아는 수백개에 달하는 첩보위성을 쉴새없이 쏘아올려 지구 상공에 촘촘한 위성첩보 네트워크를 구축해놨다. ... ...
왜 꼭 대칭이어야 해? 허파의 반항
과학동아
l
200405
왼허파는 위엽·아래엽의 2개 엽으로 이뤄져 있다.허파의 엽 사이에는 각 엽을 뚜렷하게
구분
해 주는 틈새가 있다. 이 틈새는 허파가 움직이는 것을 돕고, 허파에 생긴 질병이 전체적으로 퍼지는 것을 막는다. 의사는 허파의 엽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아야 올바르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예를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05
언어로 ‘땅의 사람들’ 이란 의미다. 마푸치족은 땅을 고도와 환경에 따라 몇 지역으로
구분
했다. 주로 안데스산맥과 해안지대 사이에 위치한 ‘계곡의 땅’ 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활했다. 오늘날 마푸치족은 소수만 남아 자신들의 땅에 대한 권리를 되찾으려고 몸부림치고 있지만, 그들의 삶의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05
때문에 식물의 모든 특징을 보여주지 못할뿐더러 주위의 흙이나 다른 식물 등과 겹쳐져
구분
이 안가는 경우도 있습니다.”따라서 식물학자들이 식물을 제대로 연구하는데는 이들 자료와 함께 식물세밀화도 필수적이다. 식물을 그린 그림의 역사는 동서양 모두 꽤 오래됐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