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d라이브러리
"
계기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있다.그렇다면 이공계 기피 문제가 최근 정부와 국민의 커다란 관심거리로 등장한
계기
는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되는 것은 최근 제시된 서울대 미등록 사태와 자연계열 비율 감소다.올해 서울대 정시모집 등록률을 살펴보면 자연대와 공대가 각각 81.9%와 81.7%로 저조했고, 추가등록 최종 마감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조율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공익에 기여하는 즐거움김단장에게 물과 관련을 맺게 된
계기
를 물었다. 사실 물을 연구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지만, 왠지 멋있어 보이지는 않는다는 기자의 편견을 깨고 싶었기 때문이다. 김단장은 “이 분야에서 학위를 준다고 해서”라며 농담으로 말을 받아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것이다. 즉 과학자들의 목적은 기체의 액체화였다.하지만 기체의 액체화는 이와는 다른
계기
에서 최초로 성공했다. 1840년대 미국의 의사 고리는 말라리아에 걸린 환자를 위해 방의 온도를 낮추고자 소량의 공기를 액체화시켰다. 이때 그는 높은 압력에 갇혀있는 기체를 갑자기 팽창시키면 온도가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고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죠.” 박승재 교수가 평생 물리교육과 살아오게 된
계기
다. 그는 영재교육을 시발시킨 정연태 교수가 과학교육 1세대라면 본인은 2세대라면서 “학문은 대개 3세대가 지나야 확실한 토대가 갖춰지는 것”이라고 덧붙이며 현재 3세대인 자신의 제자들이 여러 ... ...
특별한 물리교사 도다 이치로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달랐다. 도다 선생은 “이런 오해를 풀어주고 싶다는 생각이 안개상자를 연구하는
계기
가 됐다”고 설명한다.처음엔 학교에 있던 단열팽창형 안개상자를 이용해 실험했지만, 방사선원을 넣어야 하고 제한된 시간 동안 지름 12cm 정도의 작은 창을 통해서만 관찰할 수 있었다. 그 후 영국 런던의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MEMS가 바이오와 만났다.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빠른 시간 안에 자동으로 실험해주는 초소형칩, 인체 내에 삽입돼 수술하지 않고도 진단·치료하는 캡슐형 내시경을 개발 ... 최적의 파트너로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생명공학연구 패러다임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
가 되고 있다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강연을 들을 수 있는 티켓을 선물로 받았고, 감동적으로 그 강연들을 청취했다. 이것이
계기
가 돼 그는 이듬해 화학 조수로 왕립연구소에 취직했다.1813-15년 패러데이는 데이비를 따라 유럽 대륙으로 과학여행을 떠났는데 이 기간 동안 유럽의 저명한 과학자들과 교류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 ...
얼굴 윤곽 미리 바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뼈를 만들거나 없애는 역할을 한다는 기존 학설에 착안해 실험을 하게 됐다”고 실험의
계기
를 밝혔다.지금까지 얼굴이나 신체의 형태를 결정하는 정보는 특정 세포가 담당한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특정 물질에 의해서도 얼굴 윤곽이 바뀔수 있음을 증명한 결과라는데 의미가 있다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모양을 가진 ‘윈터스틱’이라는 자신의 스노보드와 함께 ‘뉴스위크’에 실렸다. 이를
계기
로 그때까지 일반에게 생소했던 스노보드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스노보드 대중화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사람은 버튼 스노보드 회사의 사장인 버튼 카펜터이다. 그는 밀로비치의 영향을 받아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주계획과 마찬가지로 화성으로 떠난 탐사선은 정치적인 선전을 목적으로 한 비행이
계기
가 됐다. 최초 탐사선 발사는 정치적 쇼1950년대만 하더라도 크기와 궤도 외에 화성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다. 따라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제트추진연구소(JPL)가 1958년 12월 미항공우주국(NASA)으로 이관되자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