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과학자들은 열광했다. 하지만 각 유전자가 무슨 단백질을 만들고 어느 세포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했다. 설계도만으로는 인간을 구성하는 ‘부품’ 즉 단백질에 대한 정보까지 알 순 없었던 것이다.과학자들은 설계도가 가리키는 위치에 부품이 실제로 있는지, 각 부품이 어떻게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찬물을 한 잔 마시면 보약보다 좋다고 합니다. 혈액 속의 독소를 제거하는 신장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➋ 자주 마시자갈증이 나는 것은 이미 내 몸에 물이 부족한 뒤에 나타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갈증을 느끼지 않도록 활동하는 공간에 물을 놓고 자주 자주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이버테러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침투해 데이터를 파괴하고 네트워크 기능을 마비시키는 신종 테러다. 최근에는 단순한 네트워크 공격에 그치지 않고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대표적인 예가 2009년 이란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격해 핵개발용 원심분리기 1000여 개를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팀마다 리더를 뽑고,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발표하면서 자연스럽게 스크래치 기능을 배웠다.“처음 만난 친구들과 팀 미션을 하려니까 어색했어요. 하지만 여러 가지 미션을 수행하면서 서로 궁금한 것은 물어보고 도우면서 자연스럽게 협동심을 발휘할 수 있었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발견했어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성장호르몬과 면역 기능을 돕는 호르몬 분비를 억제해요. 스킨십을 하면 증가하는 옥시토신은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만들지요. 또한 세로토닌과 도파민은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화학물질이에요. 스킨십을 하기만 해도 호르몬이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물·유전자원의 70%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바이오산업 전 분야에 걸쳐 피해가 예상됩니다." 9월 15일 경기과학기술진흥원에서 열린 '나고야 의정서 대응을 위한 산업계 세미나'. 오좌섭 천연물신약연구소장의 말에 참석자들이 술렁거렸다.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없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56층 건물인 상업은행 본점(259m)처럼 부분(60%) 자연환기 기능을 채택한 친환경 초고층건물이 있긴 하지만, 아직 주류는 아니다. 더구나 서유럽 등 친환경 국가들이 추구하는 무탄소 건물은 아직 요원하다. 이인선 건축가는 “(무탄소건축에 대한 이해가 높은 영국의)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 중에는 치매를 방지하거나,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기능성 쌀이 많다. 지난해 기능성 쌀 시장의 규모는 일반 쌀 시장의 8%인 5000억 규모로 성장했다. 이제는 우리가 오래된 친구와의 의리를 지켜줄 차례다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날아가 옷이 축축해지거나 몸에 달라붙지 않아야 해요. 쿨론이나 쿨에버, 에어로쿨처럼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만든 옷이 좋지요.2. 긴 바지 또는 축구스타킹긴 바지로 다리를 가리세요. 짧은 바지를 입을 때에는 축구스타킹을 꼭 신으세요. 다른 편의 공을 빼앗거나 내 공을 지키려다가 넘어질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놓고서는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또 공학자들은 뇌파를 기록하는 뇌전도(EEG) 기기나 기능적자기 공명영상(fMRI) 장치 등을 활용해 뇌를 연구하곤 하지만 역시 한계가 있다. 결국 공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결합해야만 복잡한 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나의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