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견학도 마쳤고, 슬슬 맹물이와 이 요철발명왕이살던 1970년대로 돌아가야 할 텐데…. 온
김
에 미래의 자동차 세계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 왜냐 하면 미래에 내가 어른이 되었을 때 나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가 될 사람들이잖아? 물론 내가 최고의 자동차 발명왕이 되어 있겠지만 말이야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마존의 사막화가 계속되면서 서식지를 잃은 흡혈박쥐 떼가 북부 브라질을 휩쓸며 사람에게 광견병 바이러스를 옮기고 있다. 흡혈박쥐에 물린 사람은 1000명이 넘고, 이 중 20명이상이 사망했다. 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셈이다.극지 연구 과정에서 예상외의 수확도 얻었다. 1992년 1월
김
소장의 연구팀은 세종기지가 위치한 남극 주변 해저에서 국내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300배에 달하는 가스수화물층을 발견했다. 가스수화물은 얼음 속에 갇혀 있는 메탄가스. 현재의 에너지 고갈 문제를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11월9일 유럽우주국(ESA)의 금성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가 소유즈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163일 뒤 금성 궤도에 진입해 두터운 대기를 측정하는 등 금성의 형성과 진화를 밝힐 자료를 수집하며 탐사 활동을 벌이게 된다. 물 속에 있는 콜로이드상태 또는 가는 입자상태 현탁 ... ...
세계를 자석으로 끌어당기는 기업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연구개발 인력이 140명에 이를 정도다. 올 연말에도 다시 신제품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자석과 전자세라믹 기술이 모두 집약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주력을 바꿔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자화전자를 세계적인 전자부품 업체로 키우고 싶다”는 그의 ‘일 중독’은 아직 끝이 없어 보였다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부작용 없이 시냅스를 차단할 수 있는데다 원 상태로 복구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복구가 가능한 뇌 손상기법을 이용하면 시간개념을 필요로 하는 높은 수준의 인식기능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사람도, 생쥐도, 초파리도 모두 화를 냅니다. 신경과학을 연구하면 자신의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생각하면서도 현재로서는 철저히 ‘수능형 인간’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 목소리를 낸다.
김
채옥 회장은 “과학을 선택이 아닌 필수 과목으로 만들기 위해 한국물리학회 차원에서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 한국의 물리학은 춤추고 싶다. 학생들의 열의를 장단 삼아,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연구는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인류가 이제 막 탄생지를 떠나는 역사에 해당할 것 같다. 또
김
박사가 연구하는 은하 진화는 세계 각지에 흩어진 인류가 살아가는 현장에 비유될 수 있겠다.이제 인류의 진화와 개인의 일생에 비유될 수 있는 7명의 천문학자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들은 모두 한국에서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끌어온 연구단이다. 그간 국내외 우수 학술지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지난 9월
김
교수는 서울대 공대 학장을 맡아 더 바빠졌다. 그가 연구 외에 다른 일에 잠시나마 ‘한눈파는’ 이유는 하나. 공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기 위해서다. 공학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합니다. 육체적으로는 힘들지만 훈련에 참가할 때면 무척 뿌듯합니다.” 박사과정
김
재현 연구원의 설명이다.부대를 출입하며 군사 정보를 다루다 보니 학생들도 군사 전문가가 됐다. 한 여학생은 해병대에서 시뮬레이터를 시연할 때 군 장성들에게 “교관 하셔도 되겠다”는 말까지 들었을 정도다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