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낸 ‘학봉 장군 미라’로 알려져 있다. 미라를 내시경 검사한 결과 식도, 위에서
꽃
가루가 발견됐으며 폐의 상태로 보아 폐질환을 앓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라 옆의 영화관에서는 각 문화권에서 바라보는 죽음에 대해 보여준다.전시관 구석구석에는 살아 있는 동물과 식물이 있다. 개구리,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안전한 전달시스템이 없다. 이 문제가 언제 해결되느냐에 따라 RNA 간섭 기술이 화려하게
꽃
필지 정체될지 결정된다.또 RNA 간섭 현상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다. 동물세포에서 RNA 간섭이 일어나게 되면 표적이 된 단백질뿐만 아니라 다른 단백질의 합성이 억제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잡고 발맞춰 움직이게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두 발로 걷는 휴머노이드는 ‘로봇의
꽃
’ 으로 불린다. 인간과 닮아 신기한데다 두 발로 넘어지지 않도록 자세를 잡고 자연스럽게 앞뒤로 걸으려면 걷는 동작 하나하나를 미세하게 제어해야 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두 발로 걷는 로봇은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동구권 선수들이 몰락한 것도 원인이지만 케냐 선수들의 훈련이 과학화되면서 잠재력이
꽃
폈다고 볼 수 있다.놀랍게도 케냐 선수들 대다수는 케냐의 리프트 밸리(Rift Valley)라는 지역에 살고 있는, 인구 3백만이 조금 넘는 칼렌진(Kalenjin)족 출신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다면 오늘날 왜 이들이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다육질이고 30~70cm로 자란다잎은 피침형인데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둘러싼다
꽃
은 총상화서(總狀花序)이며 줄기 윗부분의 각 마디에서 2~3개씩 돋아나 겨울부터 봄에 걸쳐 피며 백색 · 자색 · 황색 등 여러가지가 있다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하며 큰 포기가 되지 않도록 해마다 싹을 다 잘라 ... ...
② 금메달 제조기 '스포츠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유지한 것은 이 시스템 덕분이 아니었을까.첨단 과학의 격돌 1백m달리기 올림픽의
꽃
은 역시 1백m 달리기. 8월 22일 열린 인간 탄환들의 경연장 남자 1백m 결선은 첨단 과학의 각축장이었다. 특수 러닝화는 물론 수영처럼 전신 육상복이 최근 인기를 얻는 추세다.금메달을 딴 저스틴 게이틀린(미국)이 ... ...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털이 있다
꽃
은 4~5월에 지름이 4~5cm의 두상화(頭狀花)로 피며
꽃
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
색은 등홍색(橙紅色)이며 밤에는 오그라든다보통 가을에 씨를 부려 온실에서 월동한 후, 이른 봄에 화단에 옮겨 심는다P 디바이가 제창한 고체의 격자진동에 대한 모형 고체의 격자 비열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고분의 천문벽화가 발생지인 중국에서는 오히려 쇠퇴하고 말았지만 고구려에서는 활짝
꽃
을 피웠던 셈이다.그렇다면 고구려 천문벽화에는 어떤 것들이 그려져 있을까? 김 박사는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고분을 가장 대표적인 천문벽화로 소개했다. 이곳의 천문벽화가 시대적으로 앞설 뿐 아니라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수요일에는 빨간 장미를 그녀에게 안겨 주고파. 흰옷을 입은 천사와 같이 아름다운 그녀에게 주고 싶네.비오는 수요일이면 생각나는 노래 ‘수요일에는 빨간 장미 ... 1개), 델피니딘(3개) 등 3가지로 나뉜다.
꽃
잎 세포질에서 만들어진 안토시아닌은 액포에 저장돼
꽃
잎에 색을 부여한다 ... ...
차세대 방송의
꽃
,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지난 2001년 미국 CBS 방송은 독특한 슈퍼볼 중계방송을 선보였다. 결정적인 주요 득점 순간을 이방향 저방향으로 돌려 보여준 것이다. 중계를 지켜본 시청자들은 이 새로운 영상 기술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마치 영화 매트릭스를 보는 것처럼 입체감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계기로 전문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