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일본에 이어 세 번째였다. 올해 목표는 3x10-17 수준의 불확도를 달성하는 것이다. 오늘날 미국, 독일, 영국, 일본 등 강대국들은 세슘 외 다른 원자를 이용해 시간을 새롭게 정의하는 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세슘보다 고유 진동수가 훨씬 큰 수은(Hg), 이터븀(Yb), 스트론튬(Sr), 인듐(In), 칼슘(Ca), ... ...
- Part 1. [사건의 발생] 재활용 업체, 쓰레기 수거 거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재활용 쓰레기 대란은 언제든지 또 일어날 수 있어요. 또 앞으로 폐지와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답니다. 재활용 쓰레기 대란, 원인은?첫 번째 원인은 중국에 있어요. 전세계 재활용 쓰레기의 절반에 해당하는 730만t(2016년 ... ...
- Part 4. [우리의 노력 2] 1회용품 사용을 줄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만들지 말자는 운동도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어요. 그리고 이러한 운동은 ‘오리기날 운페이팍트(Original Unverpackt)’라는 독일의 마트에서 실천되고 있지요. 이 마트의 이름은 독일어로 ‘포장되어 있지 않은’이란 뜻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친환경 마트예요. 다양한 식재료들을 포장 ... ...
- Part 1.문제 해결의 비법, 컴퓨팅 사고력!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이준서 군! ● 이준서의 녹녹맨 발명일기우리 형은 아이스하키 선수다. 그런데 어느 날, 무릎을 다쳐 한동안 꼼짝없이 집에만 있게 됐다. 집에서조차 목발과 휠체어 없이 움직이기 힘든 형을 보니, 형이 혼자 집에 남아 있을 상황이 걱정됐다. 누군가 방문이라도 한다면, 불편한 몸을 이끌고 ...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피로가 쌓이고 집중력은 떨어진다. 자칫 졸음운전이나 전방 주시 태만으로 사고가 날 수 있다. 2014~2015년 한국도로공사 통계에 따르면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의 61.8%(294명)가 졸음이나 전방 주시 태만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치사율이 높은 이유는 졸음운전으로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주로 ... ...
- Intro.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공장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제품을 지구로 배달할 거거든. 아, 그런데 왜 우주에서 제품을 만들었냐고? 그럼 우선 날 따라와. 우리 우주공장을 소개할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공장이 온다!Part 1.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Part 2. 우주공장 제품을 ...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필요하지요. 응용수학 분야 ‘가우스상’ 수상자 - 데이비드 도노호 귀국하는 날 아침 호텔 로비. 가우스상 수상자 데이비드 도노호 스탠퍼드대학교 통계학과 교수가 아내와 함께 커피를 주문하고 있었다. 슬쩍 인사를 건넸다. Q 응용수학자 사이에서 가우스상을 받는 건 어떤 의미인가요 ...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정보보다 불확실해서 변수가 많다”며 “건설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예상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해저터널 건설로 얻는 이득이 낮다는 우려도 있다. 유로터널은 1994년 개통 이후 계속된 누적 적자로 파산 직전까지 갔다가 겨우 살아났다. 초기 투자자들 역시 대부분 깡통을 찼다. ... ...
- 중앙대 중앙사랑장학생 박준우 - “실수와 실패가 합격의 지름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실수를 꼼꼼히 기록했다. 그는 “매일은 아니지만 시험이나 동아리 활동 등 의미 있는 날이라고 생각될 때마다 일기를 썼다”며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준비할 때 일기를 다시 훑어보며 당시 배운 점과 느낀 점 등 경험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스스로를 성찰하고 동기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아닌 다른 모양으로 만드는 걸 구상하고 있다”고 답했어요. 드론은 한 번에 오랫동안 날 수 없어요. 그래서 로봇 팔이 드론 위로 늘어나도록 만든다면 나무에 매달려 잠시 쉴 수 있을 거예요. 또 로봇 팔의 모양을 육각기둥, 팔각기둥으로 바꾸면서 효율적인 모양과 락커의 개수를 알아보겠다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